서지주요정보
글로벌 유동성이 원달러 환율 및 해외자본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n empir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global liquidity on the Korean exchange rate and foreign capital inflows
서명 / 저자 글로벌 유동성이 원달러 환율 및 해외자본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n empir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global liquidity on the Korean exchange rate and foreign capital inflows / 손진국.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238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IN 11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56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IN 11006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lobal liquidity started to increase in 2003 and has been accelerated from the second half of 2007 mainly by G-4 countries. The excess global liquidity has flowed into emerging countries with relatively high interest rate or high-growth prospects. Excessive inflow of global liquidity into a country usually causes many problems like over-valuation of domestic currency. Moreover, an abrupt outflow of global liquidity brings about a great impact on the foreign-exchange and financial markets of the country. From the above viewpoint, this thesis is to study about the effect of global liquidity on the Korean exchange rate and foreign capital inflows. Two kinds of econometric models were applied. First, with the regime switching model, this thesis found that the change of stock price in the low-liquidity regime has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the movement of exchange rate than that in the ample-liquidity regime. And one-day lagged exchange rat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ovement of exchange rate in the low-liquidity regime. Second, wit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is thesis found that foreign debt is the most sensitive to the global liquidity impulse, whereas bond investment capital is the least sensitive to the global liquidity. The results of variance decomposition showed that global liquidity has a relatively high influence on the variance of exchange rate and foreign debt. This thesis gives us a broad picture about the effect of global liquidity on the Koeran exchange rate and foreign capital inflows and will be helpful to make a policy against excessive inflow and abrupt outflow of global liquidity.

본 논문은 2003년 이후 G-4 국가를 중심으로 팽창되기 시작한 글로벌 유동성이 상대적 고금리 국가 또는 성장 전망이 밝은 국가로 이동하여 이들 국가에게 다양한 정책과제를 안겨 주고 있다는 데 착안하여 글로벌 유동성 팽창이 우리나라 원달러 환율 및 해외자본 유출입의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각적 분석을 위하여 국면전환 회귀모형과 벡터오차 수정모형의 두 가지 계량모형을 적용하였다. 먼저 국면전환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글로벌 유동성 사정을 안정국면과 불안국면으로 구분하고 각 국면에 따라 우리나라 주가와 채권 수익률 변동이 원달러 환율 변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두 가지 특징을 보였는데 첫 번째는 채권 수익률 변동의 환율 변동에 대한 기여도는 국면의 차이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주가 변동의 경우 불안국면에서 환율 변동에 대한 負의 영향력이 뚜렷하게 부각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글로벌 유동성 불안국면에서 전일자 환율 변동의 당일 환율 변동에 대한 正의 기여도가 강하게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벡터오차 수정모형을 통해 충격반응과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글로벌 유동성의 충격에 따른 해외자본 순유입의 충격반응은 단기적으로 해외자본 모든 부문에서 순유출이 발생하였는데 해외차입금, 주식투자자금 및 채권투자자금의 순으로 유출 규모가 컸으며, 이후 유출 규모를 축소 또는 회복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해외차입금, 채권투자자금, 주식투자자금 순으로 많이 소요되었다. 결국 글로벌 유동성이 악화되면 해외차입금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을 통해 원달러 환율과 해외자본 순유입액의 변동요인에 있어 글로벌 유동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원달러 환율 변동에 있어 글로벌 유동성은 1~3개월 이후에는 환율 자체요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자본 순유입에 있어서는 해외차입이 글로벌 유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주식투자자금과 채권투자자금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채권투자자금의 경우 글로벌 유동성의 상황 변화에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IN 11006
형태사항 ⅲ, 4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n-Kook S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동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ong-Suk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9-3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