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politics of ecology in Korea : a critical analysis of the Saeng-myung movement = 한국 생태운동의 정치 : 생명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명 / 저자 (The) politics of ecology in Korea : a critical analysis of the Saeng-myung movement = 한국 생태운동의 정치 : 생명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Jee-Hy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237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TP 11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lobal environmentalism has led to the incorporation of Eastern traditions into the ecological movement, based on the belief that these traditions are viable alternative to the world views, values, and lifestyles of the Western industrial civiliza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today’s ecological crises. This paper questions such a na$\ddot{i}$ve understanding by investigating the emergence in the 1980s of Korea’s Saeng-myung (“ life”) movement, based on Tonghak, an indigenous tradition. By analyzing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is movement, this paper reveals that, although the movement has been hailed as an ecological one, it actually succeeded an agrarian movement of the 1970s. Being reinterpreted in an ecological sense, Tonghak reconciled agrarian with ecological concerns, thereby establishing the Saeng-myung movement as an ecological movement. In addition, with Tonghak, the movement could maintain the spirit of the Minjung (“common people”) movement, which was interested in folk traditions, and come to public attention. These findings explain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eng-myung movement, but also its limitations. While the Saeng-myung movement has been confined to the imperatives of the previous agrarian movement, the discussions surrounding the movement have primarily examined the movement’s Tonghak foundation. This paper argues that such characteristics have led the movement to neglect the imperatives of the ecological movement. Indeed, the Saeng-myung movement has difficulties in taking a significant stand on major ecological issues or spreading an ecological consciousness among the public. Above all, without genuine dialogue with other ecological movements, the movement has made no new contribution to debates on ecological thoughts in global environmentalism.

환경주의의 흐름을 살펴보면 생태운동은 그 발전과정에서 동양전통을 적극 도입해왔다. 이는 동양전통이 오늘의 생태위기를 초래한 서양산업문명의 세계관과 가치, 생활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어왔다. 이 논문은 1980년대 한국에서 등장한 생명운동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환경주의와 동양전통의 결합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생명운동의 등장에 관한 역사적,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인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한국 환경주의자들로부터 생태운동으로 인정받고 있는 생명운동이 1970년대 농촌운동을 계승하는 운동이었다는 것을 보인다. 동학을 생태사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생명운동은 이전 농촌운동의 관심사를 새로운 생태적 관심사로 재정의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생명운동은 농촌운동의 과제를 계속 수행하는 한편 새로운 생태운동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또한 동학은 민속전통을 중요시하는 1970년대 민중운동의 정신을 잇는 것이기도 했다. 이런 발견들은 생명운동의 특성뿐 아니라 한계 또한 설명해준다. 생명운동은 농촌운동의 과제에 국한되는 한편 새로운 전략으로써 비대립적 운동방식을 추구하면서 결과적으로 생태운동의 다양한 이슈에 소홀했다. 한편 생명운동에 관한 논의들은 주로 동양사상인 동학을 낭만화시키면서 생명운동의 한계를 제대로 진단하지 못했고 생태운동에 관한 지구적 차원의 논의에 참여하지 못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11001
형태사항 ii, 34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지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ichael S. Pa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마이클박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8-3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