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the affective quality of interactivity by motion feedback in touchscreen user interfaces =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서 모션 피드백에 의한 인터랙티비티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the affective quality of interactivity by motion feedback in touchscreen user interfaces =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서 모션 피드백에 의한 인터랙티비티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Do-Yun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213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1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focuses on motion feedback as an element of interactivity which can be designed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UX) of touchscreen user interfaces. To approach UX, motion feedback was examined in terms of affective quality. This is because the affective quality of a system is an influential aspect of user emotion which is a key factor of UX. Affective quality refers to the feel or impression of a stimulus. Previous works on the affective quality of user interfaces have focused on static elements, such as color, shape, and layout. Nevertheless, motion feedback of interactivity is emerging as a potent element in today’s user interfaces. In this context, motion feedback needs to be examined as an element of affective quality as well. As a way to gain leverage in the design of today’s user interfaces for UX, this study aim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motion feedback design for the affective quality of touchscreen user interfaces. This aim was pursued through empirical studies in three stages. First, the significance of motion feedback on the affective quality of a user interface was verified. Three different types of motion feedback were implemented in monitor touchscreen interfaces which varied by application and content type. Experiment with these prototype interfaces showed that the affective qualities of a user interface are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motion feedback applied, and that the level of influence varies by the contextual factors. With the significance of motion feedback verified, the second stage of the study was performed to raise practical understanding of motion feedback design for affective quality. Three generally applicable mo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for their relation to affective qualities in both the monitor and mobile touchscreen interface. For each motion property, the related type of affective qualities and the type of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Effort system from Laban’s theory was adopted in the experiment on the monitor interface to investigate how motion in a virtual user interface is perceived in comparison to human body movements. The limitations towards the perception of affective qualities with motion in user interfaces were also identified from this analysis. The third stage of the study was an exploration of a new strateg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current touchscreen interfaces as well as to facilitate motion feedback design for affective quality. The Weight factor of the user’s finger action which refers to the pressure dimension of the user’s input was examined within the interactivity of mobile touchscreen user interfaces. Current mobile touchscreen user interface provide interactivity by responding only to the Space and Time factors of the user’s finger action. A prototype system was built to implement the Weight factor by sensing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screen interface. Results show that motion feedback in mobile touchscreen user interfaces which respond to the Weight factor of inpu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er’s perception of affective quality. Moreover, this includes the ones related to physical feel which lacked in virtual user interfaces. In relation to this aspect, the use of motion feedback to substitute the affective qualities related to tactile feedback was examined and several guidelines for a usable and acceptable implementation of the Weight factor were identified. From these research stages, this study provides basic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interactivity using motion feedback to handle affective quality. With further studies on other relevant factors, motion feedback can be designed to effectively raise the UX of the present and future touchscreen user interfaces.

본 연구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경험(UX)을 향상 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인터랙티비티의 모션 피드백을 탐구하였다. UX에 접근하기 위해서 모션 피드백은 감성적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UX의 핵심 요소가 감정이고 사용자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시스템의 감성이기 때문이다. 감성은 어떠한 대상물이 가진 느낌이나 인상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감성에 관한 기존 연구는 색채, 형태, 레이아웃과 같이 정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인터랙티비티와 관련된 모션 피드백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였기 때문에 모션 피드백 역시 감성을 이루는 요소로서 연구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X 디자인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상의 모션 피드백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감성적 측면에서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세 단계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모션 피드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유형의 모션 피드백이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 유형으로 구성된 모니터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들에 적용되었다. 이 프로토타입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모션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감성이 다르게 느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모션 피드백의 영향력은 인터페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 유형에 의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션 피드백의 중요성이 검증된 이후 두 번째 단계에서는 모션 피드백을 감성적 차원에서 디자인하는 방법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 실험은 모니터와 모바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수행되었고 각 환경의 모션 피드백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션 속성이 미치는 감성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모션 속성들이 어떠한 감성 유형과 관련 있고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파악하였다. 특히 모니터 인터페이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는 Laban의 Effort system을 도입하여 가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모션이 인체의 움직임에 비해 어떻게 인지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 사용자가 가상 인터페이스의 모션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감성의 한계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 터치스크린이 가진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더욱 효과적인 모션 피드백 디자인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였다. 탐구한 대상은 Effort system의 요소 중 하나인 Weight factor로 모바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인터랙티비티를 이루는 사용자의 finger action이 적용할 수 있는 압력에 주목하였다. 기존 모바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는 finger action의 Space와 Time factor에만 반응하는 인터랙티비티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Weight factor에도 반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위해 터치스크린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으로 수행한 실험을 통해서 finger action의 Weight factor에 반응하는 모션 피드백이 인터페이스의 감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가상의 인터페이스에 물리적인 느낌과 관련된 감성도 디자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세 번째 단계에서는 모션 피드백으로 촉각적 피드백에 해당하는 감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대체하는 방안을 살펴 보았고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 Weight factor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몇 가지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위의 세 단계에 걸친 실험들을 통해 본 연구는 모션 피드백 중심의 인터랙티비티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추후 연구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션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 모션 피드백은 현재와 미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의 UX를 향상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디자인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1001
형태사항 xii, 105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도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H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지현
Appendix: 1, Questionnaire based on the major affective qualities of website interface. - 2, Questionnaire based on the effort system. - 3,Questionnaire used on mobiletouchscreen user interfaces. - 4, Data from user study 1. - 5, Data from user study 2 on monitor touchscreen interface. - 6, Data from user study 2 on mobile touchscreen interface. - 7, Data from user study 3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92-9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