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의 특성 분석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io-clusters in Korea
서명 / 저자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의 특성 분석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io-clusters in Korea / 임혜원.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201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169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1005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527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1005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Korean government has given a great deal of efforts to build infrastructure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biotech industry considered as one of next generation businesses. It is believed that the biotech industry may provide solutions for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health, food, environment and energy, leading ultimately to enormous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Such efforts give rise to the construction of 11 local bioventure-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bioventure centers, which play a primary role mediating the generation of bioclusters. Bioclusters are thought to be effective in creating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essential for the growth of knowledge-intensive biotech industry because they accelerate networking among companies, universities and R&D centers located in the same area. However, government policies to promote biocluster have been driven in term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stead of overall nation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resulting in the overlap investment and low efficiencies without vision and master-plans related to local area situ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actical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bioclusters by studying business activities of companies resided in each local biocluster (named onsite-bioventure companies) and by comparing with those of independent bioventure companies (called offsite bioventure companies. Around 50% of onsite-bioventures was involved in R & D activities of the biofood category out of major 8 biotech industry categories. In contrast, the R & D areas of 33% and 25% offsite-bioventures were biomedicine and biofood, respectively, implying that biocluster residency may influence R & D activities of onsite companies. However, both onsite and offsite companies have produced biofood and biochemical-related commercial products. Biocluster residency also affected the capital. The capital of offsite-bioventures was approximately 2.5 times larger than that of onsite-bioventures as well as the sales amount was much higher, indicating that the infrastructure built in biocluster is useful for the reduction of business cost but not for sales expansion. Studies on specialties of each local biocluster based on major 8 biotech industry categories showed that specialized R & D areas or products were not observed. Finally, most bioventures categorized into biomedicine worked on several special areas including biomedical diagnosis kit not in other areas. Thus, to make bioclusters continuously contribute to biotech industry development deriving local economy prosperity, it is required to restructure them suitable for regional situation.

본 연구를 통해 바이오클러스내 기업의 사업활동을 조사해 본 결과 11개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내에 입주한 기업들이 수행하고 있는 연구기술 개발 활동은 8개로 구분되어 있는 바이오산업 분야 중 바이오식품 분야에 50% 가까이가 치중되어 있었다. 반면 바이오클러스터외 기업들은 주요 연구개발 활동은 주로 바이오의약분야로 바이오식품 25% 보다 높은 약 33%였다. 그러므로 바이오클러스터 입주 여부가 8개 연구개발 분야중에서 바이오 의약 분야 연구에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지역 바이오클러스터는 구축 사업에서 서울 경기 지역을 포함하는 수도권 지역은 제외되었기 때문으로 사료 되는데 국내 대부분의 제약 산업이 서울과 경기 (제조업체수 35%, 생산량 65%)를 위주로 하는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이와 연관된 기업들이 바이오신약 개발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바이오의약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기업수는 줄어들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바이오 벤처들이 생산하는 제품들, 즉 산업화된 성과물을 살펴보면 바이오 클러스터 내 기업들과 바이오 클러스터 외 기업들 모두 바이오식품을 가장 많이 생산하고 다음이 바이오화학 제품이었다. 이는 생물 의약 제품을 개발하는 데는 임상 실험등에 오랜 시간과 높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개발된 기술 중 적용이 용이하고 산업화하기 쉬운 분야인 기능성 식품 소재나 화장품 소재들이 포함된 분야인 바이오 식품이나 바이오화학 제품을 개발했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바이오클러스터내 기업들은 생물의약 분야에서 연구 개발활동을 하는 기업이 적을 뿐 아니라 이 분야와 기술적으로 가장 밀접한 분야인 생물검정 정보서비스 및 연구 개발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 빈도수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이오클러스터 내 기업들의 연구 개발활동이 최종 제품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역 바이오클러스터들이 지향하는 비젼들이나 향후 발전방안을 살펴보면 생물의약 분야를 포함하거나 이를 위한 전임상 서비스 등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클러스터 조성 이유가 특정 분야을 특화할 때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와 혁신을 일으키는 동인임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지역 바이오클러스터가 가지고 있는 역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특화된 역량을 경쟁력으로 견인할 수 있는 혁신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구축사업은 전술한바와 같이 기반시설 건설을 중심으로 지원되어 왔기 때문에 이러한 기반시설이 기업의 사업활동에 영향을 주었는 지 살펴 보기위해 바이오클러스터내 기업과 바이오클러스터외 기업으로 구분하여 자본금을 비교하였다. 클러스터외 기업들의 자본금이 클러스터내 기업들의 자본금보다 약 2.5배 많았는데 이는 바이오클러스터내 기업들이 구축된 기반시설들 및 장비를 이용하여 연구개발활동과 생산활동을 함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는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구축사업이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가시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10052
형태사항 vii, 76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ye-Won L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배종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Zong-Tae Ba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p. 74-7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