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국제 M&A 공시 후 완료에 관한 실증적 분석 =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completion of cross-border M&A after an announcement
서명 / 저자 국제 M&A 공시 후 완료에 관한 실증적 분석 =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completion of cross-border M&A after an announcement / 김상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201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168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1005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540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1005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f cross-border M&A completion probability after M&A announcemen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of cross-border M&A from 1985 to 2008. The target financial variables are set as control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target national GDPs of target companies and acquiring companies have effects on cross-border M&A completions.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national GDP of target companies and a negative effect on national GDP of acquiring company. Result is that diversific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cross-border M&A completion. M&A driven solely by financial motives are less successful. Meanwhile, M&A driven by strategic motive and economic motive are more successful. There are several meaningful points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covers current trend that there are various acquiring company nations, meanwhile formal researches set limits of acquiring company nation in specific block regions. This study analyzed approximately 800 cases and get meaningful analysis with acquiring companies' motives of M&A.

국제 M&A는 최근 기업들의 성장 전략으로 인식되면서 중요한 연구 분야로 다루어져 왔다. 이전 선행 연구는 국제 M&A 성사 시에 발생하는 누적 비정상 수익의 성과에 대해서 재무적인 요인, 동기적인 요인, 국가적인 요인의 영향을 고찰하고, 어느 조건에 M&A의 성과를 더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왔다. 즉, 국제 M&A의 잠재적 가치 창출과 이러한 가치 창출의 원인에 대해서 연구한 것이다. 아울러, 피인수 기업의 특성들에 집중된 연구는 최근의 다변화되는 인수 기업의 특성들을 반영시켜주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985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제 M&A 사례들을 바탕으로 국제 M&A 공시 이후의 완료 확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피인수 기업의 재무적인 변수를 통제 변수로 활용하여 피인수 기업의 국가 GDP, 인수 기업의 국가 GDP가 국제 M&A의 완료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이에 대해서 피인수 기업 국가 GDP는 국제 M&A의 완료에 대해서 양(+)의 영향을 인수 기업 국가 GDP는 음(-)의 영향을 가지는 것을 알았다. 더불어, M&A에 있어서 다각화가 완료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수평적 M&A와 비관련 다각화 M&A의 영향을 고찰한 결과 다각화가 커질수록 국제 M&A의 완료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을 알았다. 기업이 공시하는 M&A의 동기의 조건 별로 국제 M&A의 완료 확률을 고찰한 결과적인 재무적인 동기로 진행되는 M&A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가짐을 알았고, 경제적인 동기와 전략적인 동기에서 진행되는 M&A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에, 이번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인수 기업을 미국이나 영국 기업 혹은 특정 지역의 기업으로 제한하였지만, 이번 연구는 피인수 기업과 인수 기업의 지역적인 제한을 제거하여 인수 기업의 국가적인 특성도 포괄하여 고찰하려 하였다. 또 다른 의의는 국제 M&A에 있어서 기업이 공시하는 동기에 기반한 연구를 시도하였던 점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10054
형태사항 vi, 69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ang-Do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지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Hwan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3-6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