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resence of peer influence on cognitive process in the perception of abstract paintings = 일반인의 평가 정보가 추상회화 감상자의 인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존재에 대한 연구
서명 / 저자 Presence of peer influence on cognitive process in the perception of abstract paintings = 일반인의 평가 정보가 추상회화 감상자의 인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존재에 대한 연구 / Yong-Jin Ji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128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0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peer influence on personal preference to abstract paintings and also analyze the cognitive process eliciting changes in preference to paintings. 191 female participants without any particular background in the fine arts were presented with six paintings dating the 21st century with information which are designed for eliciting peer influence. The paintings had to be rated by the participants in term of personal preference to paintings and the information in terms of agreement, expertise, and informa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preference to paint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dividuals' strongly and mild positive commentaries; commentaries from similar others and those from exper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hanges in participants' preferences according to subject and the strength of writers' emotional attitude of information. Furthermore, we found that several correlation of agreement, expertise, and informativeness with changes in preferences to paintings. Within similar emotional attitude of information, influence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attitu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er influence can increase participants' personal preferences to the paintings with the similar degree of expert's, and they also revealed which factors from information elicit peer influence.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의 주요 동기로 확인된 일반인의 영향력이 작품 감상에 미치는 인지적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감상자의 작품에 대한 선호도를 일으키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추상 회화 작품 감상에서 감상자와 유사성이 높은 일반인의 정보가 미적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미술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191명의 여성 피험자가 21세기 현대추상회화 여섯 작품을 대상으로 그들과 유사성이 높은 사람과 전문가의 정보를 제공받았다. 그리고 각 작품의 미적 선호도와 제시된 정보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전문성, 유익성, 공감도를 측정받았다. 실험 결과, 미적선호도는 일반인과 전문가의 강한, 그리고 약한 긍정적인 의견에 유의미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정보의 주체에 따른 미적선호도 변화 정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감정의 강도 역시 미적 선호도 변화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하지 못했다. 또한 본 실험은 일반인의 영향력을 일으키는 정보의 요소들과 미적 선호도의 변화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미적선호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들은 감정의 강도에 따라 차이를 드러냈다. 실험 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예술 감상시 나타나는 전문가의 영향력과 달리, 동시대 회화 작품 감상에 있어서 미적선호도에 미치는 일반인과 전문가의 영향력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0014
형태사항 63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진용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Seung Je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승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 p. 42-4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