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시간 영역에서의 지연-합 빔형성 방법을 이용한 충격 음원의 위치 추정 = Impulsive sound source localization using delay and sum beamforming method in time domain
서명 / 저자 시간 영역에서의 지연-합 빔형성 방법을 이용한 충격 음원의 위치 추정 = Impulsive sound source localization using delay and sum beamforming method in time domain / 서대훈.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121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10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hat estimation of impulsive sound source position which is stopping or moving. To achieve the aim, we have attempted to divide the problems into three problems. First, prediction problem is related issue that how we acquire beam output at the prediction plane by using measured sound pressure. So in this paper, we have utilized time domain beam-forming method which is representative method in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In this case, the transfer function between a monopole source and sensors is spherical wave model. Also we can localize moving sound source by expressing the position of moving trial source as the function of time. Secondly, measurement problem is related the array information. In other words, we should make it the number of microphons and the spatial array shape.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regular and irregular array shape, we have determined “Curved spoke type array” and it uses 30 channel sensors. Finally, we can estimate the impulsive sound source location by resolving the analysis problem. Impulsive sound has a feature that sound pressure varies very rapidly in a few second so we can utilize that feature. Also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theory.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ime domain beam-forming method is useful than that of frequency domain when we have to localize transient sound source like a impulsive sound.

본 논문의 목적은 시간 영역의 빔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정지하거나 이동하고 있는 충격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크게 세가지 문제로 나누어 해결한다. 먼저 예측 문제는 어레이의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어떻게 예측면에서의 빔 출력을 구하는지와 관련된 문제로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 영역에서의 구면파 모델의 빔형성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로 측정 문제는 몇개의 센서를 이용하고, 또한 공간상의 센서의 배치 즉, 어레이 형태를 결정 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레이 이득이 마이크로폰 개수에 비례함을 증명하고 30개의 채널을 이용하는 구부러진 바퀴형 어레이를 선정하였고 이것에 대한 이유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해석 문제는 예측 문제를 통하여 구한 예측면에서의 빔 출력을 이용하여 충격 음원의 위치 추정과 관련된 문제이다. 문제의 해결은 충격 신호의 시간 영역에서의 특징 즉 짧은 시간내에 음압의 크기가 증감이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대표값을 선정하고 이 대표값을 비교함으로써 충격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충격 음원과 같이 주파수 영역에서 파워가 넓게 분포하는 음원의 탐지는 시간 영역에서의 빔형성 방법이 주파수 영역의 방법보다 더 유용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10022
형태사항 viii, 14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ae-hun Se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양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ang-Hann Kim
부록: 1, 빔형성 방법의 적용시 근거리/원거리 음원을 나누는 기준. - 2, 구부러진 바퀴형(curved spoke type) 어레이의 분해능 실험. - 3, 충격 음원의 도플러 효과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14-11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