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 analysis of management efficiency of Korean IT service firms : revisited = IT 서비스 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서명 / 저자 An analysis of management efficiency of Korean IT service firms : revisited = IT 서비스 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 Sung-Ha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DM000089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ICU/MA07-02 2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IT) services industry faces a number of structural problems, including oversupply and excessive competition. In turn, IT service firms themselves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eir industry, and some firms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Existing studies based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ainly measure software projects and maintenance efficiency. The current paper analyzes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IT service firms in Korea, especially System Integration, using input-oriented DEA. It is shown that IT service firms in Korea have thus far focused on scale-oriented management activity rather than profit orientation, and the main cause of firm inefficiency lies in scale inefficiency. It is concluded that inputs need to be expanded, or that firm scales need to be adjusted, in order to enhance profitability.

국내 IT 서비스 산업은 과당경쟁과 저가수주 등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그 동안 매출 성과 위주의 경영을 해온 IT 서비스 기업들이 이제는 투자 대비 성과를 검토해야 하는 시기에 도래했으며, 기업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 기업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성과측정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여러 가지 시도들이 있어 왔지만, 대부분 IT 서비스 기업들의 프로젝트 내지는 기술이나 기업의 가치평가에 집중되었고, 정작 IT 서비스 기업들에 대한 경영평가는 많지 않았고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도 거의 부재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괄분석 기법을 바탕으로 IT 서비스 기업들의 경영효율성을 측정하여 평가해 봄으로서 IT 서비스 기업들이 처한 비효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자료포괄분석 기법은 동질적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해야 그 효용이 높아진다. 또한 어떤 변수를 추출하는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변수 추출이 가장 핵심적인 사안이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국내 IT 서비스 기업들의 IT 서비스별 특성을 미처 반영하고 있지 못해 표본과 변수선택에 있어 다소 문제점이 있었다. IT 서비스 자체가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점차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어 이전과 같이 IT 서비스 기업들을 획일적으로 묶는 방법으로는 의미 있는 결론을 얻기 힘들다. 또한 IT 서비스가 기술집약적이긴 하나 노동 집약적이므로 이러한 특징을 변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IT 서비스 산업 군에서 특히 시스템 통합 매출이 높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별하였고, IT 서비스 기업의 특성을 반영할만한 변수를 찾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하여 비교적 가장 유사한 표본과 특징적인 변수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2003 ~ 2005 년까지 우리나라 IT 서비스 기업, 특히 시스템통합 매출 상위 17 개 기업들을 표본으로 하여 3 개의 투입요소(총자산, 임직원수, 교육훈련비)와 2 개의 산출요소(매출과 경상이익)를 추출, 투입지향 DEA 모형을 이용하여 먼저 해당 기업들의 경영효율성을 측정하였고, 그들의 시장효율성과 수익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다시 총자산 크기에 따라 기업들을 그룹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정리해 보면 표본 기업들의 비효율이 연구기간 동안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비효율은 순수기술보다는 규모에서 기인하고 있었다. 기업들의 대부분은 시장효율성보다 수익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산 규모가 천억원 이상인 기업군이 수익효율성이 훨씬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장효율성 조사에서는 대부분 DRS 상태에 있어 규모를 줄여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자산 규모가 천억원 이하인 기업들은 수익효율성 조사에서 모두 IRS 상태에 있으므로 수익성 제고를 위해 투입요소를 증가시키거나, 기업 간의 합병을 통한 규모의 확대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기업들이 저마다 경영효율 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하고는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각 기업에 맞는 타당한 개선책을 찾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추후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조사대상 기업들 가운데 몇몇 업체의 매출이 모그룹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변수를 고려한다면 보다 정교한 성과측정 내지는 다른 가치있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투입요소나 산출요소로서 정량적인 요인만을 고려한 측면이 있다. 실제 IT 서비스 기업의 산출요소는 본 연구에서 선택한 것보다 매우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서비스 품질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보다 다양한 IT 서비스 기업들이 조사 대상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고려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과측정의 결과를 보다 풍부하게 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ICU/MA07-02 2007
형태사항 v, 38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성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ong-Hoon Y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동훈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 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31-3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