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 empirical study on broadband Internet diffusion in Korea : lessons from Korea’s case = 한국의 초고속인터넷 확산에 관한 경험적 연구
서명 / 저자 An empirical study on broadband Internet diffusion in Korea : lessons from Korea’s case = 한국의 초고속인터넷 확산에 관한 경험적 연구 : 한국의 경험으로부터의 교훈 / So-Young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200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DM000035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ICU/MA03-46 2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Broadband access to the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policy issue in each country. In most countries it is considered to be most essential to build up information society and to take the initiative for e-commerce. Thus there have been great interests in broadband access to the Internet and thus many descriptive researches have been made. However we have not found empirical studies on the factors for the broadband diffusion yet. This empirical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broadband diffusion worldwide and in Korea. Broadband gives some benefits such as high transmission speed, always-on connection with flat rate, and not tying up a telephone line. However it also has some limitations originated from technologies and the inheritance of many decades of monopoly provision of access network. The technical issue is summarized to the distance problem. The monopoly provision of local loop is related with the limit of competition and regulatory issues. Thus most countries have implemented asymmetric regulation to build up competitive market. However, in most countries incumbents' market governance has been absolute in broadband market until today. As for the status of broadband worldwide, the number of broadband subscribers reached about 63 millions in 2002 from about 5 millions in 1999. The breakdown of technologies consists of about 50% of xDSL, 45% of cable modem, and 5% of others in 2002. Since June 1998, when Thrunet first provided broadband access to the Internet in Korea, the number of broadband subscribers dramatically has increased from 13,801 in 1998 to 10 millions (21.3 per 100 inhabitants) in 2002. It means that Korea is by far the best in terms of broadband penetration rate, and the second in terms of number of broadband subscribers.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scribers comes from the intensive competition environment in Korea. As for broadband diffusion, Korea has taken exceptional path when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nd broadband diffusion. That is, in Korean broadband leads Internet diffusion, while most countries struggle even to switchover dial-up modem to broadband access. In the broadband history, the fact that the incumbent, KT, was the latest mover of the 3 major players in Korea has made the Korean market the most competitive one across the countries. Internet diffusion model and some of factors come from empirical studies and the other factors come from descriptive studies. The factors used in this study include economic factors (income and price), infrastructure factors (telephone line and cable network; PC), and non-economic factors (the distance or population density; understanding of the net and integration of it into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we set the two-step study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e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Internet and broadband diffusion. Internet diffusion depends on technical factors such as networks (telephone line), terminal (or PC), and users' attitude (or adoption) to the Internet. Broadband diffusion depends not only on the Internet, but also on newly arising technical elements including cable networks and the distance (or population density). The distance is identical to population density and it can be interpreted as a demographic factor as well. There may be other factors to explain broadband diffusion across the countries. Due to the lack of credible data, we could not approach to them. In the second step, we examine which factors make Korea excel other countries in diffusion. We found that cable network, and collective and positive attitude to the net make major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But the lowest pric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which previous qualitative analyses have designated as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s, are not statistically clear. As for the distance, it can be thought as a success factor. We infer that comparatively large value of population density helps to foster broadband diffusion. Finally, we infer that sufficient users' benefits arise from the high broadband diffusion. There may be other factors specific to Korea, which we do not have any method to compare at the cross-country level. In conclusion, the effect of economic wealth gets weaker on broadband diffusion than it does on Internet diffusion, although they are as strong as before. We introduced new models that include several factors that were not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hose are newly introduced network element (cable network) and technical constraint (the distance), which are specific to broadband technologies. And we also introduced a new factor, understanding of the benefits of the net. All of them are tes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inding is a contribution of this paper. We showed that Korea's broadband diffusion path differs from other countries. That is broadband leads Internet diffusion while other countries struggle to switchover the Internet to broadband. CATV network and positive attitude to the net was found as clear factors that differentiate Korea from other countries. Though price and the distance have statistical ambivalence, they also are thought to have positive influences. In Korea case, the positive actions of the government and competition focused on letting citizens know of broadband benefits helped the Korean to subscribe to broadb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Biased sample may distort the result, but we do not think that those newly added data produce new implications of the factors affecting broadband diffusion and outstanding performance in Korea. We explain just 60% of broadband diffusion, which is our main interest. We succeeded in finding new factors such as CATV network and the distance through a quantitative method. However, we cannot differentiate the effect of factors on broadband diffusion. This is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usion and a variety of price including price/speed price/income, price measured by PPP are also remained as a future work. We may need larger sample data to find what they are. Obviously, this is a future research issue.

초고속 인터넷은 정보화사회를 구현하는데 기반이 되는 산업으로 각 국가들은 그 확산을 위하여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그 보급률은 불과 1% 밖에 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초고속인터넷 확산을 결정짓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한국의 괄목할만한 성장에 기여한 특별한 요인들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계량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전송 속도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액제를 채택하고 있어 지속접속 (always-on connection)이 가능하고 전화선을 점유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초고속인터넷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송기술 및 네트워크 구축에 따른 경제적 문제로 거리상의 제약이 존재한다는 것이며 또 다른 문제는 지배적 통신 사업자가 가입자망에 대해 독점적 지배력을 행사하는 현실로부터 발생한다. 현재까지 xDSL과 케이블 모뎀 방식의 두 가지 기술이 전체 초고속 인터넷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상위 3개국이 전체 시장의 60%, 상위 5개국이 70%를 점유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02년에 전체 인구의 21%, 전체 가구수의 70% 이상이 초고속 인터넷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보급률면에서 2위와 거의 2배의 격차를 나타내는 놀라운 수치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다른 국가들이 인터넷의 전환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에 애를 먹고 있는데 반해 한국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터넷이 같이 확산 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치열한 경쟁의 구도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경쟁의 촉발 요인은 지배적 사업자의 시장진입이 늦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경쟁이 양상은 소비자들에게 초고속 인터넷의 존재를 알리고 구매를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양상의 이면에는 PC방을 통한 선행 경험이 구매를 촉진하였을 것으로 추론 된다.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거의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인터넷 확산과 관련된 계량적 접근이 존재하고 한국의 성공원인에 대한 서술적인 고찰이 존재한다.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세운 연구모델은 두 단계로 구성된다. 첫번째는 다중회귀모델이다. 회귀 모델은 다시 두 단계로 이뤄진다. 먼저 인터넷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출한다. 초고속 인터넷을 종속 변수로 한 회귀모델에서는 인터넷 확산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새로운 기술적 요인인 케이블 망과 거리의 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산출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기존 연구에서는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혀진 성과라고 하겠다. 이어 한국과 개념적으로 분류한 3개의 그룹을 기술통계량을 통해 비교하였다. 간단한 t-test를 사용하였다. 우선 경제적 부와 인프라스트럭처 요소 중 전화망과 단말기인 PC는 한국의 우월적인 초고속 인터넷 확산을 설명하는 요소로는 부적합 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 요소인 케이블망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진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케이블망은 한국에서 발생한 치열한 설비기반 경쟁의 요소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더욱 설득력을 가진다고 하겠다. 한국의 초고속 인터넷 가입률이나 분석에서 사용한 변수인 온라인 거래 등을 볼 때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활동 경향은 분명히 초고속 인터넷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초고속인터넷 확산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저렴한 가격과 아파트를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생활 환경이라는 요인에 대한 검증 결과는 모호한 측면이 있음이 밝혀졌다. 우선 가격 요인을 살펴보면, 단순환율과 가격/속도 측면에서는 타당성이 있는 듯 하지만 소득 대비 가격이나 구매력지수로 환산한 가격을 살펴보면 전혀 그러하지 못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경제력이 아직은 선진국 대비 미약하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한편 인구 밀도로 환산한 거리의 문제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다. 비교적 샘플이 안정된 집단인 OECD 국가들간의 비교 결과를 놓고 보면 긍정적인 요인이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이끌어 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확산이 경제적 요인인 소득과 선형관계에 의해 잘 설명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초고속인터넷의 확산은 비선형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GNI가 $17,000 PPP 이상인 국가들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어떤 관계도 형성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가격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못한 것을 correlation matrix 분석에서 본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한된 샘플로부터 발생한 문제일 수 있으나 샘플에 포함된 국가들의 구성 자체는 의미 있다고 본다. 한국의 경우 Cable network이 시장구조와 경쟁의 양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설비기반 경쟁이 초고속인터넷 확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간접적이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가격측면에서 모호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높은 보급률을 놓고 볼 때, 사업자간 경쟁으로 인해 형성된 '최선의' 가격을 소비자들이 수용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가격의 이면에는 앞서 언급한 설비기반 경쟁 이외에 KT의 늦은 시장참여와 당시 주식시장 호황에 따른 하나로통신 등 경쟁자의 용이한 자금 확보 등이 복합적으로 경쟁의 양상을 결정지었고 결과적으로 초고속인터넷 확산에 기여했음을 밝혔다. 반면, 소득대비 높은 가격과 높은 보급률에 대한 설명은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주는 효용이 한국인에게 특별히 크게 작용했으며 이는 PC방을 통한 선행경험 및 초고속인터넷에 특화된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이 논문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아직까지 초고속 인터넷은 확산의 초기이기 때문에 신뢰할만한 국가간 비교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고 또 한편으로 확보된 데이터의 일부는 편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모델은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과 관련해 60%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즉 너무나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이 문제는 보다 신뢰할 만한 자료의 확보로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각 요인의 개별적인 영향력을 찾는 모델이 아니어서 각 요인의 영향력을 측정하지 못하였지만 그 가중치를 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초고속인터넷의 확산과 가격의 관계를 보다 세밀하게 조명하지 못한 부분은 향후 과제로 남기고 있다. 향후 보다 신빙성 있는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면 보다 개선된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ICU/MA03-46 2003
형태사항 ix, 70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소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Cheol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명철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 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64-6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