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the virtual enterprise for consolidating firms' competitiveness =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가상기업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the virtual enterprise for consolidating firms' competitiveness =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가상기업 연구 / Hyo-Ri Jeon.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200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DM000010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ICU/MA01-07 2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e past decade, the change in the global economy has significantly re-defined the way business has been conducted. The core activity of manufacturing is no longer confined to making things but lies in the systematic processing of knowledge to create value for customers. Business services that capitalize on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expanding fast. In fact, the availability of digital tools and equipment in the marketplace provides a major opportunity for enterprises to build stronger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partners, which is regarded as the key to building a successful business. In this background, virtual enterprise as new business model is taking up momentum to explore the new opportunity in the business world. This paper selects some issues such as selection of business partners, coordination i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on process and the prediction / detection of production partnership, and suggests solutions of issues as the checklist and manual of virtual enterprise formation. The below is summary of research contents. First, the needs of relationships among firms are already explained in introduction. According to this explaining, paper would like to see the effects that are caused in shaping network structure. Before the concept using in this paper is decided, so many virtual enterprise's concepts that are defined by experts are summarized. And then this paper defines the clear definition of virtual enterprise. Second, this paper suggests the checklist of forming virtual enterprise through studying on virtual enterprise case studies and surveying literatures. The purpose of checklist is supporting for entrepreneurs who want to make virtual enterprise. The checklist is divided by three parts; pre-virtual enterprise, post virtual enterprise, and feedback. Before forming virtual enterprise is called pre VE, and after forming VE is called post-VE. Third, the types of firm's relationship act as critical variable in deciding weights. In this reason, this paper considers the types of firm's relationship for drawing out proper CSF's weights. For analyzing how the CSF weight change according to the types of firm's relationship, the virtual enterprise cases to be mentioned above are re-use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checklist according to relations' types and the manual of virtual enterprise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firms that want to make virtual enterprise for increasing competitive power in the server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by suggesting "Virtual enterprise's checklist model"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e point of limited number of cases as 9 to extract CSFs weights. The reason is that we choose the sampling firms in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dustry. If we will study more firms' case studies and try to interview deeply, probably the general weights of CSFs are extracted, and these weights are fully reflected by firms' present status. So, these general weights are used in many firms and decrease errors happened to adapt individual firm case. Moreover, sub-factors in virtual enterprise checklist model are short of objectivity. Delphi method by experts who are related virtual enterprises or institutions is suggested as one of solutions to obtain objectivity. Finally, these limitations are made up, and then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yardstick manual in forming virtual enterprise.

현재의 전세계적인 경쟁의 증가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 정보기술의 발달에 의한 기업간 경쟁이 첨예화되면서 감소하는 이윤을 극복하고, 기업이 생존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거 경쟁기업을 적대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닌 협력적인 관계를 정립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에 대한 다양한 기업협력의 형태들로 외부구입, Joint Venture, 전략적 제휴, 가상기업 등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 중의 하나인 가상기업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들이 직접 가상기업을 성공적으로 형성하고자 할 때 어떤 요인들을 살펴보아야 하는지, 또한 기업조직 연계 유형에 따라 이들 요인들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기존 성공사례들을 토대로 연구해 봄으로써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가상기업 구축을 위한 Checklist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된다. 우선 기본적으로 기업간 조직 연계성의 필요성에 대한 개괄적 설명과 이에 대한 효율적 대안인 가상기업에 대한 연구 및 기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가상기업 구현시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 사례 및 기업간 조직연계의 유형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토대로 기업의 유형에 적합한 성공요인의 가중치를 도출한 후 이를 기업에서 직접 활용 가능하게 하는 가상기업 구출 매뉴얼을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한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분석사례 기업 선정(가상기업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국내외 기업들) 및 관련 문헌연구 - 조직유형에 다른 사례기업 분류(조직유형구분 판별함수를 활용) - 가상기업 형성 단계별(가상기업 형성 전, 후, 성과에 다른 피드백) 성공 요인 도출 - 조직유형별로 구분한 사례기업을 바탕으로 가상기업 형성단계별 도출한 성공요인별 가중치 결정 - 조직유형별 세부 성공요인을 포함하는 Checklist를 작성 - 가상기업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들을 위한 '성공적 가상기업 구축을 위한 평가매뉴얼' 제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제시한 가상기업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한 Checklist와 평가매뉴얼은 궁극적으로 기업간의 협력시 협력기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객관적이고 타당한 판단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기업간 경쟁, 즉 시스템간 경쟁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더욱 강화된 기업 경쟁력을 제공해줄 바탕이 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Check List의 경우 기업에서 활용하고자 할때 기본적으로 자신의 기업이 기업간 경쟁의 위해 조직의 형태가 어디에 속하였는지 판단을 해야 한다. 판별함수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들을 통해서 중간조직 유형인지 위계조직 유형인지 결정하게 된다. 이 판단을 통해서 어 느 형태의 Check List를 이용할지 결정하게 된다. 조직의 유형에 따라 Check List의 성공요소별 가중치는 달라지게 된다. 이에 대한 가중치는 9개의 사례분석 및 기존 문헌을 토대로 제시된 것이나, 실제 기업에서 이 모델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기업내부의 분석 및 타사분석, 자타사 분석에 있어서 기업내부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성공용소에 대한 가중치를 자의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현실적용시 유연성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성공요소들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는데 있어서 점수를 부과하는데 토대가 된 가상기업 구축사례가 9개로 한정된 수라는 점이다. 구축사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정보기술을 기업전반에 활용한 경우로 한정지었기 때문에 분석사례의 수가 적어지게 되었다. 좀 더 많은 사례들과 사례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적인 인터뷰를 하게 된다면 전반적인 기업들의 평균적인 가중치가 도출되리라 기대한다. 조직연계의 유형별로 평균적인 기업의 성공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좀 더 객관적이고, 더 많은 사례를 토대로 도출하게 된다면 이 가중치가 각 개별기업들이 이 모형을 이용할 때 판단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개별기업 적용시 오류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가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ICU/MA01-07 2001
형태사항 vi, 76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전효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Ho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명호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 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71-7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