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estima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IT industry in Korea = 국내 정보통신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정
서명 / 저자 The estima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IT industry in Korea = 국내 정보통신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정 / Young-Keun Ch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200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DM000006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ICU/MA00-11 200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e age of technology competition, a lot of capital and labor of high class have been invested in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IT) industry since it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frastructure of future economy growth in Korea. Due to such a great investment, IT industry in Korea have been growing very rapidly. However the contribution of technological advance and accumulation to the output growth of IT industry has not been investigated so far. In this study,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overall manufacturing industry and IT manufacturing industry in 80's and 90's were estimated respectively. We used the growth accounting model. The contributions of technological advances in IT manufacturing and non-IT manufacturing secto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major results foun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manufacturing industry in 80's recorded high growth rate, but the growth rate of TFP was not more than the average of non-IT sectors. More specifically, while the growth rate of output of IT sector in 80's was about two times more than that of non-IT sectors, the growth rate of TFP of IT sectors was estimated less than that of non-IT sectors.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rowth of IT sectors in 80's was not achieved by technological advance or innovation, but by the increased investment of inputs such as labor, capital, and intermediary. Second, although the growth rate of IT manufacturing sectors in 90's became decreased compared with in 80's, the growth rate of TFP of IT sectors in 90's was higher than that in 80's. Also it was much higher than the growth rate of TFP of non-IT sectors in 90's. But this success in 90's has still the limit since contribution of TFP to output growth of IT sectors in 90's did not reached that of non-IT industry in 90's. Third, in spite of technology intensive characteristics of IT sectors, the growth of IT industry so far was achieved by the massive investment of inputs not by technological advances of IT sectors.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 is that the technology retained by Korea IT industry may not be competitive. The TFP of IT industry in Korea can be improved by trying to acquire a source technology and to enhance R&D investment more effectively in the 21st century.

21세기를 향한 기술경쟁의 시대에서 정보통신 분야는 국가적으로 볼 때 미래 산업발전의 중요한 기반구조라는 인식 아래 그 동안 자본 및 고급 인력의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집중 투자의 결과 국내 정보통신 산업은 괄목한 만한 성장을 계속 이루어 왔으나, 외형적인 성공 뒤에 기술 축적 및 발전이 뒷받침되었는지 평가하고 앞으로의 정보통신 기술 정책 수립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정보통신산업의 성장이 기술진보를 통해 이루어졌는지 분석하기 위해 성장회계방법을 이용하여 80년대와 90년대의 전체 제조업 및 정보통신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요소생산성을 추계하기 위해서는 산출자료와 노동자료, 자본스톡자료, 중간재자료가 필요하였으며, 산업간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산출 자료는 총산출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0년대 정보통신 제조업은 산출면에서는 고성장을 기록하였으나 총요소 생산성의 증가율은 정보통신을 제외한 제조업의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기간 동안 정보통신 제조업의 성장률은 정보통신 제조업 성장률의 2배 수준인데 비해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은 정보통신을 제외한 산업의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이 기간동안의 정보통신의 성장이 기술진보나 혁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 노동, 자본, 중간재 등의 요소의 집중 투자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90년대 정보통신 제조업은 80년대에 비해 성장세는 둔화되었으나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은 80년대의 경우보다 더 큰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동기간의 정보통신을 제외한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상회하고 있다. 그러나 총요소생산성의 증가가 산출증가에 기여한 정도를 분석해 보면 정보통신을 제외한 제조업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정보통신 산업이 기술집약적이고 혁신이 많이 일어나는 산업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이 부문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통계 수집상의 문제로 인한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정보통신 산업은 기술집약적인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요소투입의 증가에 의한 성장의 특징을 많이 띠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따라서 향후 정보통신 산업은 그 동안의 성장에 안주하지 말고 원천기술 확보 및 R&D투자의 확대 등에 힘을 쏟아 총요소생산성 증진을 계속 도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ICU/MA00-11 2000
형태사항 x, 74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장영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Cheol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명철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 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52-5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