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움직임 요소에 기반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 Entertainment robot personality design based on basic factors of motions
서명 / 저자 움직임 요소에 기반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 Entertainment robot personality design based on basic factors of motions / 김재욱.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060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09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Numerous studies have attempted to explore interactions with intelligent products as the emergence of various intelligent products has occurred. Intelligent products build their own personality based on a unique identity and use this personality to interact with people. People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identity of intelligent products by interacting with them. Thus, intelligent products are able to build personalities based on an identity determined by active mo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gn guideline to build a personality for an entertainment robot based on basic factors of motions and their interrelation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irection at two levels, the speed, the volume, and repetition at three levels as the basic factors of a mo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dominance and friendliness as personality factors. Eighteen motion samples were designed with two or three levels of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use of Taguchi’s method. Participants watched eighteen motion samples in a random order and evaluated the personality factors (dominance and friendliness) based on each motion sample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yielded basic guidelines to express robot personalities using motions while controlling the direction, speed, volume, and rate of repetition. The experiment for personality expression of entertainment robots through motions with content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entertainment robot personality design based on motions. In this paper, music contents were chosen in order to verify the role of entertainment robot personality design for real contents. Sixteen samples were designed with four types of music genres and four types of motions. Participatns watched sixteen samples in a random order and evaluated the personality factors (dominance and friendliness), enjoyment, performance, and preference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yielded basic guidelines to design motions of an entertainment robot according to each personality of music contents.

로봇의 성격 디자인은 인간-로봇 인터랙션을 원활하게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며, 로봇의 행동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및 이해도를 높여준다. 또한 로봇의 임무 수행 능력을 높여주게 되므로 로봇 디자인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이러한 로봇의 성격은 외형, 태도, 행동 및 스피치, 수행 임무 등의 여러가지 요소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형성되고 표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움직임은 다른 기존 제품들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로봇의 특성이며, 인간-인간 인터랙션을 통해서 형성된 사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로봇 인터랙션 시에 로봇을 쉽게 받아들이고 로봇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 성격 디자인을 위해 기반이 되는 연구로서, 다른 기존 제품들과 큰 차이를 보이는 로봇의 특성인 움직임의 요소에 기반하여 로봇 성격 디자인 방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하여 로봇 움직임 요소와 성격 요소를 추출하고, 상관관계 파악을 통해 움직임 요소에 기반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고다. 또한 컨텐츠에 대한 성격 표현 움직임의 역할을 알아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 요소의 적용 수준에 따라서 성격 표현은 달라진다. 움직임 요소는 방향, 속도, 가속도, 크기, 종류, 접근 방식, 발생 횟수 등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로봇의 움직임에 각 움직임 요소의 적용 수준에 따라서 표현하는 성격은 사용자들에 의해 다르게 인식된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제어가 가능한 방향, 속도, 크기, 반복횟수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한 성격 디자인을 위해 지배성과 우호성을 사용하였다. 지배성은 움직임의 속도와 방향에 의해 양의 영향을 받으며, 우호성은 반복횟수, 속도, 방향에 의해 양의 영향을 받고 크기에 의해 음의 영향을 받았다. 이를 통하여 성격의 지배성과 우호성 정도의 표현에 따라서 움직임을 통해 특정 성격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로봇의 역할이나 캐릭터를 중심으로 개성, 성격 유형을 분류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인간-로봇 인터랙션에서 중요하며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된 로봇의 특성인 움지임에 기반하여 성격을 분류하고 디자인하였다는데 차이점과 의의가 있다. 둘째, 성격 표현 움직임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로봇에 대한 인상에 영향을 준다. 본 실험에서는 음악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 각 음악 장르의 성격 표현 움직임의 적용에 따른 사용자들의 로봇 인상 평가를 통해, 대부분의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의 성격과 일치하는 성격을 표현하는 움직임이 사용자의 즐거움, 수행도, 선호도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움직임의 성격에 따라 컨텐츠의 성격이 증폭되고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로봇의 움직임은 사람들이 로봇을 하나의 파트너로 인식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로봇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게 되고, 이를 로봇이 만족시켜 주기를 바라게 된다. 때문에 로봇이 사람들에게 움직임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들은 로봇에게 흥미를 갖게 되고 더욱 가까이하게 될 것이며, 이는 로봇에 대한 우호성을 늘리게 될 것이다. 즉, 각 사용자들의 관심과 집중을 얻기 위해 컨텐츠를 강조할 경우에는 컨텐츠의 성격과 일치하거나 강조하고자 하는 성격의 움직임 적용을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경우 인간에게 친근감과 즐거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움직임을 보이며 사용자에게 다가가는 우호성이 높은 움직임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많은 인간-로봇 인터랙션 분야에서 로봇 개성 및 성격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외형에 따른 캐릭터나 역할을 중심으로 성격을 분류하고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로봇 인터랙션에서 보여지는 중요한 특성이자 디자인 요소인 움직임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을 표현하고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컨텐츠 표현에 대한 성격 표현 움직임의 역할을 파악하고, 움직임 요소와 성격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움직임 요소에 기반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엔터테인먼트 로봇 성격 및 컨텐츠 서비스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09014
형태사항 vii, 58, 4,9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ae-Woo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A1-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