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문화유적지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방문객 GPS 조사 연구 : 경복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PS tracking analysis of visitor for purpose of heritage management : Gyeongbokgung palace
서명 / 저자 문화유적지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방문객 GPS 조사 연구 : 경복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PS tracking analysis of visitor for purpose of heritage management : Gyeongbokgung palace / 김선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059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0902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New technological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heritage studies, such as GPS, Infrared, 3D scanner and other digital tools recently. Depending on the concept of ‘heritage interpretation’, the significance of visitors on heritage site has been emphasized in heritage management. The role of visitors should be redefined not only for immediate site management but also long-term conservation of heritage. This paper investigates visitors on heritage site which was the Royal Palace for 600 years in Seoul, Korea. In the process of research, GPS logger was used to track the spatial data of 100 visitor groups. To extract the result from raw data, specific computer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The former is `Zone` algorithm which divides raw data by buildings in the Royal Palace. The latter is `Grid` algorithm which shows the specific place of each visitor stays more than 5 minutes. As a result, 4 typical spatial patterns (Axis, Circulation, Hybrid, Front) of visitors could be derived from GPS data. By statistical analysis, visiting time and visiting pattern have no relationship with destination familiarity of visitor, characteristics of group, and purpose of visit. Because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heritage site compare with other tour sites, visitors on the heritage site are confronted with ‘ants-trail’. On the contrary, the spatial pattern of visitor could be explained by the level of provided information about buildings in Royal Palace, and also by the used heritage interpretation media; brochure, signage, personal guide, or digital audio guide. In conclusi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information system on heritage sit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can decide the visitor`s spatial pattern or experience. This paper suggests contextual information system of heritage site for purpose of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to visitors and also designing visitor`s experience.

관광은 오늘날 수많은 자본을 끌어들이며 이 ‘굴뚝 없는’ 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 내고 있다. 그리고 관광의 대상이 되는 공간 또한 무한히 확장되고 있다. 문화유적지에 대한 관심도 모든 지역을 관광지화하며 자본을 끌어들이려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변화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초점인 방문객 행동에 대한 연구는 산업의 ‘소비자’ 개념 혹은 ‘소비자 행동’에서 출발하지 않는다. 비록 문화재를 찾은 방문객이 자신이 지불한 비용에 대하여 서비스를 기대하려는 합리적 소비자의 모습을 띠기도 하지만 이러한 관점보다는 문화재의 가치와 해석의 관점에서 논의를 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출발점이야말로 문화재를 관광지로 변모시키려는 유행에서 잠시 벗어나 문화재를 진정으로 활성화하는 길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장 먼저 문화재 해석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방문객에 집중하여 논의를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방문객에 대한 기존의 행동 모델들이 경복궁이라고 하는 하나의 단일 방문지, 특히 문화유적지에서도 적용 가능한 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문 동기, 방문 경험, 구성원 등 방문객 그룹의 특성이 행동과 동선의 패턴을 완전하게 설명해 주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오히려 행동 패턴은 어떠한 정보원을 택하느냐에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원에 귀속된 제약 사항에 따라 방문객은 움직인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방문객이 경복궁에서 휴식을 취하려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여전히 정보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말해 준다. 하지만 방문객은 방문 동기에 따라 자신이 선호하는 정보원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며 이는 현재 경복궁의 안내 시스템이 지닌 한계점이기도 하다. 여하튼 방문객이 취하는 정보원은 오히려 시간과 장소에 따라 우연히 결정된다. 이는 각각의 정보원이 가진 시공간적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결국 방문객이 우연하게 브로셔를 발견했는지, 혹은 해설사가 제공되는 시간에 맞추어 경복궁을 방문했는지에 따라 방문객이 경복궁에 대한 안내를 받게 되는 정보원이 결정된다. GPS 데이터를 공간 위에서 분석한 결과 방문객의 실제 방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방문객은 전각에 대한 1차적인 정보에 의해 움직이기보다는 공간의 근접성과 역사적 일화와 같은 2차, 3차적인 정보에 의해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전각 외 공간에서 머무는 적지 않은 시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적지 방문객의 경험을 디자인함에 있어 정보의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경복궁의 정보를 방문객의 경험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는 맥락적 정보 체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제안된 정보 체계에 대한 검증과 체계적인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09023
형태사항 iv, 86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un-Hyuc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정화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g-Wha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79-8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