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xploring individual’s knowledge transfer motivations :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 개인의 지식이전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연결망 관점
서명 / 저자 Exploring individual’s knowledge transfer motivations :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 개인의 지식이전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연결망 관점 / Min-Hyung K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053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07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422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07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hile desirable and highly promoted by every organization, transferring one’s best knowledge to the rest of the organization is a hard, challenging task. To facilitate knowledge transfer within an organization,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antecedents of knowledge transfer is required. The economic perspective that assumes the atomized human being who is trying to maximize own utility was not satisfactory to fully explain the mechanisms of knowledge transfer. To resolve this issue, we adopted a sociological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human being is embedded within social networks (social relationships one keeps with his/her friends or colleagues) and the social networks influence human being’s behaviors.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thesis postulates that the social networks influence the human being’s psychological factors, which subsequently influence the behaviors.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we suggest that the social networks influence the knowledge sources’ motivations to transfer their knowledge to the colleagues and these motivational mechanisms differ by the type of knowledge transfer (open vs. closed). By analyzing survey responses from eight R&D groups of five firms in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ind that the properties of the social networks such as strength of ties, network centrality, and perceived expertise affect five motivational factors of knowledge transfer. Among the motivational factors, interpersonal factors such as identification and reciprocity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losed knowledge transfer, while self-efficacy and reward affect open knowledge transfer. Second study utilizes multilevel analysis to look deep into the knowledge transfer process both from the knowledge source’s and knowledge recipient’s perspective. We examine the dyadic- and individual-level antecedents of knowledge transfer based on a multilevel research model.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method, we find that dyadic-level characteristics, such as strength of ties and structural equivalence, influence knowledge transfer. At the individual level, the knowledge recipient’s identification with colleagues and perceived expertise of colleagues are shown to be significant antecedents of knowledge transfer. To summarize,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provide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knowledge transfer by adopting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직원들 개개인이 가진 전문성을 사내에 전파하는 것은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적인 작업이지만, 다양한 장애요인들로 인하여 쉽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 내에서의 지식이전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식이전의 선행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개인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기적인 개인을 가정하는 기존의 경제학적인 관점은 지식이전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불충분한 점이 많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사회적인 관계 속에 배태되어 있고, 그러한 사회적인 관계가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문제를 접근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이론적인 틀은 사회적 관계망이 개인의 내적 동기요인들에 영향을 미치고, 내적 요인들은 최종적으로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심리학적인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식제공자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망이 지식제공자의 지식이전 동기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지식이전 동기부여 메커니즘은 지식이전의 두가지 모드(공개적 지식이전(open knowledge transfer) vs. 폐쇄적 지식이전(closed knowledge transfer))에 따라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였다. 국내 대기업 5곳의 8개 연구그룹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밝혀진 점들은 다음과 같다. 관계 강도, 네트워크 중심성, 인지된 전문성 등과 같은 사회연결망의 특성들은 모두 지식이전의 동기요인들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지식이전 동기요인들은 지식이전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력을 보였다. 즉, 폐쇄적 지식이전과 같이 당사자들간에만 일어나는 지식 이전의 경우는 관계적 동기요인인 상호호혜성(reciprocity)이 비관계적 동기요인인 조직적 보상(organizational reward)보다 더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지식이전과정이 외부에 공개되는 공개적 지식이전의 경우 반대로 조직적 보상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재적인 동기요인인 동질감(identification)이나 자기효용감(self-efficacy)의 경우에는 지식이전 모드에 따라서 영향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지식이전을 지식제공자, 지식수용자,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적 특성 등 다양한 차원에서 바라보기 위하여 다차원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즉, 관계수준의 지식이전 선행요인과 개인수준의 지식이전 선행요인들을 포괄하는 다차원 연구모델을 수립하였다. 위계적 선형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서 검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계적 수준의 특성 중에서는 관계의 강도와 구조적 등위성이 지식이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에서는, 지식수용자 입장에서 동질감 및 동료들의 전문성에 대한 인정이 지식이전에 유의한 선행변수들로 파악되었다. 한편, 지식제공자 입장에서는 보상의 효과가 가설과 다르게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그 원인에 대해서는 토론부분에서 논의하였다. 요약하면, 본 논문은 사회연결망 관점을 활용하여 지식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문적/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07015
형태사항 vi, 100, 10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강민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G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걸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s : p. 90-10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