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의료 광고에서 메시지초점과 표현의 구체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시간적 간격과 조절초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message focus and concreteness of medical advertisements on consumer attitude : focusing on temporal distance and regulatory focus as moderators
서명 / 저자 의료 광고에서 메시지초점과 표현의 구체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시간적 간격과 조절초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message focus and concreteness of medical advertisements on consumer attitude : focusing on temporal distance and regulatory focus as moderators / 김향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048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907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51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907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and regulatory focu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content, with regard to result or procedure, and the abstractness and/or concreteness of advertisements in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a) An increase in temporal distance improves consumer attitudes toward an advertisement with regard to its content result and abstractness. In addition, a decrease in temporal distance improves consumer attitudes toward an advertisement with regard to its content procedure and concreteness. (b)People who are promotion-focused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an advertisement with regard to its content result while people who are prevention-focused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an advertisement with regard to its content procedure. The data was manipulated in terms of temporal distance (near, far) X message focus( result, procedure) X concreteness(abstractness, concreteness). Also, regulatory focus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At the end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are present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needed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 광고에서 메시지 초점과 표현의 구체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시간적 간격과 소비자의 조절초점적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의료 산업에서 기존의 긴급성을 요하는 서비스와 다르게 긴급하지 않은 서비스 (성형, 교정등)가 늘어나고 있으며, 의료서비스의 특성이 결과적으로는 긍정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반면 과정적으로는 부정적인(고통, 불편) 가치를 제공하는 점에 착안하여 소비자의 조절초점적 성향이 영향을 미치리라 보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본적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적 간격이 길수록 소비자는 결과 중심의 광고에 더 초점을 보이며, 이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경우에 더 좋은 태도를 보일 것이다. 반면, 시간적 간격이 짧을 경우 소비자는 과정 중심의 광고에 관심을 가지며,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경우에 더 좋은 태도를 보일 것이다. 둘째, 향상 성향이 강할 수록 소비자는 결과 중심(혜택의 극대화)의 광고에 더 좋은 태도를 보이며, 예방성향이 강할 수록 소비자는 과정 중심 (고통, 불편의 감소)광고에 더 좋은 태도를 보일 것이다. 실험은 시간적 간격(가까운 미래, 먼 미래) X 메시지 초점 (결과중심, 과정중심) X 메시지 구체성 (구체적, 추상적)은 조작하였고 조절초점(향상성향, 예방성향)은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9075
형태사항 vii, 72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yang-Hee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한민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in-Hi Hahn
부록 : 설문지 견본.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8-6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