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ifferential effects of R&D spillovers through foreign studying = 학생교류가 R&D spillovers에 미치는 효과
서명 / 저자 Differential effects of R&D spillovers through foreign studying = 학생교류가 R&D spillovers에 미치는 효과 / Tsevegmed Narmandak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043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903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482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903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ential drivers behin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using a data set of 18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80-2007. We find that foreign education embodied human capital as a channel of knowledge spillov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but not direct. According to our study, the effect of R&D spillovers of foreign educated human capital on the TFP is greater for countries with higher accumulated gross domestic 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human capital. And the effect of knowlegde spillovers through foreign studying differs due to R&D stock lags of host countries where students study in.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ing effect for technology spillovers through trad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first time, by revealing differential effects of R&D spillovers through foreign studying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국제 R&D spillover 채널들에 관한 연구들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던 학생교류의 기술혁신생산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고려하여, 유학나라에 따라 그 conditioning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최초의 연구이다. 18개 국가의 1980년부터 2007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학생교류가 국제 R&D spillover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FGLS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국이 축적된 국내 R&D 스톡과 외국인투자로 인해 축적된 지식스톡 및 축적된 인적 자본이 많을수록 학생교류가 R&D spillover에 미치는 효과는 크며 그 효과는 유학나라의 축적된 R&D 스톡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지식스톡이 축적되어 있는 나라에서 유학할수록 학생교류가 R&D spillover에 미치는 효과는 크다. 한편, 수입으로 인해 축적된 지식스톡이 많은 것은 학생교류가 R&D spillover에 미치는 효과를 mediating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9031
형태사항 v, 51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체웨그메드 나르망다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Ya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창양
Includes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s : p. 45-4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