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ynthesis and theoretical calculation of Au.Ag heterometallic hybrid nanostructures = 금.은 이종금속 혼성 나노구조의 합성 및 이론계산 연구
서명 / 저자 Synthesis and theoretical calculation of Au.Ag heterometallic hybrid nanostructures = 금.은 이종금속 혼성 나노구조의 합성 및 이론계산 연구 / Jong-Wook J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017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H 09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Part I, Ag-Au-Ag heterometallic nanowires were synthesized via a seed-mediated process from Au decahedral seeds with different sizes. In this approach, the thicknesses of the heterometallic nanowires were dependent upon the diameters of the Au decahedral seeds. The resulting Ag-Au-Ag heterometallic nanowires have the thicknesses of 61 nm, 84 nm, and 147 nm, respectively. The structures of the Ag-Au-Ag heterometallic nanowires have distinguishable Au and Ag segments in their EDS, line profile, and elemental mapping analysis. In Part II, the optical property of a single Au nanoparticle on a glass substrate was studied by a DDA(Discrete Dipole Approximation) calculation. The structures of metallic and heterometallic nanoparticles on a glass substrate were also coded using DDA method. The presence of the glass substrate leads to the red shift of the extinction peaks in a Uv-vis range.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s of the mixed elements with Au and Ag, and their internal arrangement, various three dimensional structures including both elements, such as a Au cube, Au octahedron/Ag cube core-shell, Au cuboctahedron/Ag cube core-shell and a Ag cube were coded property. The extinction patterns of the Au octahedron/Ag cube core-shell struc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Ag nanocube. On the other hand, the extinction peaks of the Au cuboctahedron/Ag cube core-shell struc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Au nanocube.

폴리올 과정을 통하여 오각십면체의 금 나노 입자를 합성할 수 있었고, 계면활성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오각십면체 금 나노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로 합성된 오각십면체를 기존의 은 나노선을 만드는 방법에 씨앗으로 첨가하여 은-금-은 이형금속 나노선을 합성할 수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나노 입자를 씨앗으로 사용해서 61 nm, 84 nm, 그리고 147 nm의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지는 은-금-은 이형금속 나노선 역시 합성할 수 있었다. SEM, TEM 사진을 통해서 이형금속 나노선이 잘 합성됐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EDS, line profile, elemental mapping 자료를 통해서 은과 금의 성분이 명확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금 나노입자가 공기 중에 있을 때와 유리 기판 위에 올려져 있을 때를 코딩하여 이산 쌍극자 근사(Discrete Dipole Approximation, DDA)법을 통해서 소광 스펙트럼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스펙트럼은 전체적으로 적색이동을 하며 이동 정도는 나노입자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유리 기판 위에 올려진 금 정육면체와 은 정육면체 사이의 소광 스펙트럼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ㄱ) 금 정육면체, ㄴ) 금 육팔면체를 품은 은 정육면체, ㄷ) 금 정팔면체를 품은 은 정육면체, 그리고 ㄹ) 은 정육면체를 각각 코딩하여 이산 쌍극자 근사법을 통해 계산하였다. 금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ㄷ)의 경우는 ㄹ)과 거의 유사한 그래프가 나왔지만, 표면에 은과 금이 절반씩 드러나있는 ㄴ)은 ㄱ)에 더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H 09012
형태사항 v, 23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정종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yun-Joon S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송현준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20-2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