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Referential meaning and visual imagery induced by program music based on behavior and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 행동데이터 및 전기생리학적 기록을 통한 표제음악이 불러일으키는 지시적 의미와 시각적 심상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Referential meaning and visual imagery induced by program music based on behavior and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 행동데이터 및 전기생리학적 기록을 통한 표제음악이 불러일으키는 지시적 의미와 시각적 심상에 관한 연구 / Jun-Ok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987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09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rogram music is a form of Western classical music that carries extra-musical meanings. Compared with absolute music in which artistic interest is supposedly confined to abstract constructions in sound, it is well known that program music elicits more visual imagery in listeners than does absolute music.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is long belief in music aesthetics, it has not been proved yet and its underlying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is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rogram music indeed evokes more activations of cortical regions involved in visual imagery than does absolute music using electroencephalograms (EEG), and to find out similarity between listeners’ imagery and composer’s intention, if visual imagery is induced without any information of music. 100 participants of musician and non-musician were asked to listen 3 program music and 3 absolute music pieces. And EEGs of 28 participants were recorded. Significant activation of cortical regions was estimated using sLORETA. After listened each pieces with eyes closed, participants reported their appreciation of visual images and remembrance of individual experience induced while they listen, if they have. I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ctivation of visual cortex, while listening to the program music and the absolute music, and between musicians and non-musicians. Self-report analysis showed that absolute music also evoked visual imagery in listeners which is associated with their own previous experiences, whereas visual images in listeners during perception of program music are associated with the theme of music.

다른 예술 장르와 달리 음악은 무엇을 전달하려는지 명확하지 않다. 회화 예술은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 색, 질감, 움직임을 전달한다. 시, 소설 같은 문학작품은 머리로 떠올릴 수 있는 이야기와 생각을 전달한다. 그렇다면 음악은 무엇을 전달하는가? 본 연구는 음악 외적 의미를 담고 있는 음악을 음악에 대한 어떤 정보도 없이 청자가 들었을 때, 청자가 그 의미를 인식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고, 특히 시각적 영상을 음악화 한 표제음악이 절대음악 보다 청자에게 시각적 심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음악이 시각적 심상을 불러일으키는지의 여부를 자가 보고법과 뇌 전위 측정법을 사용하여 감상자가 보고하는 내용과 생리적 반응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결과 사람들은 표제음악과 절대음악의 구분에 상관없이 음악을 들을 때 시각적 심상을 떠 올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제음악을 들을 때와 절대음악을 들을 때의 뇌의 활성화 정도도 차이가 없었다. 행동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 결과의 원인으로 영상과 음악이 연합 학습 때문이라 볼 수 있고, 생리적인 측면에서 보면 청각피질에서 시각피질로 신경이 연결되었기 때문에 청각적 자극으로서 음악을 들을 때 자동적으로 시각적 심상이 떠 오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음악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표제음악에서 작곡가가 표현하려고 한 표제의 내용을 감상자가 이해하는 정도가 약 30%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창작자의 의도가 완전히 감상자에게 전달된다면 그것은 예술이라기 보다 언어와 같은 기호체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무것도 전달되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창작자와 감상자와의 소통으로서의 예술은 아닐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30%의 모호성이 음악의 예술다움을 나타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09008
형태사항 vi, 58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준옥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ak-Hwa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탁환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Jae-Seung Jeong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승
Includes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 p. 49-5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