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확정화 수준에 따른 디자인 행위의 동적 변화 = The dynamics of design activity by determinization level
서명 / 저자 확정화 수준에 따른 디자인 행위의 동적 변화 = The dynamics of design activity by determinization level / Sonya-Sona Kwa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968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08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a new tool for describing design activity which can explain the simultaneity of both the rational problem solving paradigm and the paradigm of reflective practice, to discover the dynamics of design activity through protoco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ynamics of design activity on design process and solutions,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 determinization level of design task on design process and solutions. The existing paradigms for describing design activity were examined and compared. Dorst’s study of comparison of the rational problem solving paradigm and the paradigm of reflective practice for describing design activity was reported, and the dual-mode model of design methodology which was proposed based on his comparative study was illustrated. The limitations of the dual-mode model of design methodology for describing the simultaneity of the two paradigms were discussed. In order to establish a new tool for describing the simultaneity of the two paradigms, the subject matter of design was newly defined as a quasi-determinate goal area, and a triad problem-solving model of design with a changeable determinization lev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quasi-determinate goal area. The established model is a goal-oriented problem-solving model, which is based on the triad relationship among a problem, a solution, and a goal. The goal area is distinguished from the indeterminate solution area. The goals are quasi-determinate, which is defined as determinate at a determinized boundary but indeterminate within the boundary. The concept of determinization which i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indeterminate solution area into the quasi-determinate goal area is identified. The quasi-determinate goal area can be partly approached with discovery, while the indeterminate solution area can be dealt with invention. The determinization level is changeable, and it determines the portion between discovery and invention. The established model can describe the simultaneity of both paradigms of design due to the changeable determinization level. The concept of quasi-determinate subject matter makes the subject matter of design to be correctly matched with approach, and the concept of a goal evaluation correlates solution space with process. In order to analyze design activity based on the established model, a protoco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general design tasks for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Eight designers participated in two types of design tasks, which were the design of a trashcan with a high determinization level and with a low determinization level. A triad problem-solving model coding scheme and a determinization level coding scheme were constructed to code the data. Using a protocol analysis method, general patterns of the triadic components and the designer’s determinizing process were found, and some patterns we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determinization level of the trashcan design task. The design problem,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and the design solution were evaluated by comparative questionnaires.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design task with a low determinization level was more free-flowing and creative, and the solution of the design task with a low determinization level was better in creativity, aesthetics, and technical utility satisfying the design problem more. Conversely,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design task with a high determinization level was more planned such that more concrete design solutions with better usability were developed. Also, correlations between the dynamics of design activity and the designers’ assessment results were found. The results of the protocol analysis based on the established model are potentially important for design educators or design managers, who lead design teams in creating solutions for both ill-defined and highly constrained problems.

이 논문은 디자인 행위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이몬이 제안한 이성적 문제 해결 패러다임과 숀이 제안한 반향적 실제 패러다임의 동시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모델을 토대로,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디자인 행위의 동적 변화를 조사하여, 디자인 과제의 확정화 수준이 디자인 과정 및 해결안에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 행위의 동적 변화가 디자인 과정 및 해결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도스트는 디자인 행위를 기술하는 관점에서 두 패러다임을 비교하여 디자인 방법론의 이원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디자인 방법론의 이원 모델이 두 패러다임을 동시에 포함하는 디자인 행위를 기술하는데 있어서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두 패러다임의 동시성을 기술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구축하기 위하여 두 패러다임의 속성을 모두 반영하는 디자인 대상을 새로 정의하였다. 디자인 대상을 정의할 때, 디자인 대상과 접근법간의 대응이 불일치함을 논증하고, 이에 따라 준-확정적 목적영역을 새로 도입함으로써 디자인 대상과 접근법 간의 대응을 적합하게 하였다. 준-확정적 목적영역을 도입하여 문제영역, 해결안영역, 목적영역 간의 삼원 관계에 근거한 목적기반 가변 확정화 수준을 갖는 삼원 디자인 문제-해결 모델을 구축하였다. 삼원 디자인 문제-해결 모델에서는 불확정적인 상태를 준-확정적인 상태로 변환시키는 행위나 과정을 의미하는 확정화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준-확정적이라는 개념은 확정화된 경계로서는 확정적이나 그 경계 내에서는 불확정적인 것으로 정의하였다. 준-확정적 속성을 가지는 목적영역과 불확정적 속성을 가지는 해결안영역간의 차이를 설명하였으며, 준-확정적 속성을 가지는 목적영역은 부분적으로 과학적 방법인 발견을 통하여, 불확정적 속성을 가지는 해결안영역은 직관적 방법인 창조를 통해 접근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확정화 수준은 발견과 창조 사이의 배분을 결정하며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가변적이다. 가변 확정화 수준의 개념은 구축된 모델이 디자인의 두 패러다임의 동시성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며, 준-확정적인 디자인 대상은 디자인 대상과 접근법 간의 적합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목적영역의 확정화 수준은 해결안영역의 결과를 평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구축된 모델을 토대로 디자인 행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디자인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디자인 과제인 쓰레기통 디자인에 대하여 프로토콜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8명의 디자이너가 확정화 수준이 다른 (높은 확정화 수준, 낮은 확정화 수준) 두 디자인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프로토콜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프로토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구축된 모델을 토대로 문제영역(P), 목적영역(G), 해결안영역(S)으로 구성된 삼원 문제-해결 모델 코딩 스킴과 [+] (확정화 수준의 증가), [0] (확정화 수준의 유지), [-] (확정화 수준의 감소)로 구성된 사고과정 확정화 수준 코딩 스킴을 개발하였다.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삼원 요소 및 디자이너의 확정화 과정에 대한 일반적 패턴을 발견하였다. 패턴들은 디자인 과제의 확정화 수준에 따라 구별되었다. 삼원 요소에서 해결안영역이 가장 많이 출현한 반면 문제영역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문제영역은 단위 사고 당 증가가 특정 지점 이후로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며, 해결안영역의 단위 사고 당 증가는 프로토콜 후반부에서 목적영역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디자이너의 초점이 특정 지점 이후 문제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고, 또한 문제 해결 행위가 진행되면서 목적영역에서 해결안영역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디자인 행위에서 이성적 문제 해결 패러다임과 반향적 실제 패러다임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 삼원 요소 패턴을 통하여 밝혀졌다. 즉, 미시적으로 삼원 요소는 서로 교차하며 나타났는데, 이는 디자인 행위의 반향적 실제 속성이며, 거시적으로 삼원 요소에 대한 디자이너의 초점이 문제영역, 목적영역, 해결안영역으로 변화되는 것은 이성적 문제 해결 패러다임의 이성적 탐색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삼원 요소의 패턴은 디자인 과제의 확정화 수준에 따라 해결안영역 사고의 수가 목적영역 사고의 수를 능가하는 지점, 문제영역의 시작점, 그리고 해결안영역의 시작점이 구별되었다. 이는 디자인 과제의 확정화 수준이 디자인 행위의 패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을 말해준다. 사고과정의 확정화 수준은 [+] 카테고리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0] 카테고리가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사고과정의 확정화 수준은 모든 카테고리가 프로토콜의 전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삼원 요소의 패턴과 마찬가지로, 디자이너의 사고과정 확정화 수준 패턴도 구축된 모델이 디자인의 두 패러다임의 동시성을 기술할 수 있음을 보였다. 미시적으로 모든 사고과정 확정화 수준 카테고리가 전 프로토콜에서 나타난 것은 반향적 실제 패러다임에서 디자인 행위의 반향적인 속성이다. 또한 거시적으로 [+] 카테고리가 가장 많이 출현한다는 것은 보다 나은 디자인 과정을 위해 계층적 분해를 필요로 하는 이성적 문제 해결 패러다임의 속성이다. 확정화 수준이 다른 디자인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들은 디자인 과제의 확정화 수준이 낮은 것보다 높은 과제에서 [+] 카테고리를 더 많이 나타냈다. 이는 디자이너가 확정화 수준이 높은 디자인 과제를 다룰 때에 디자인 과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정화하여 과제를 해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디자이너들은 디자인 문제, 디자인 문제-해결 과정, 디자인 해결안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디자인 과제의 확정화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디자이너는 낮은 확정화 수준의 디자인 과제와 문제-해결 과정을 높은 확정화 수준의 것보다 보다 쉽고 흥미롭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낮은 확정화 수준의 디자인 과제에서는 디자이너가 보다 유연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가질 수 있었으며, 보다 창의적이고, 아름답고, 유용하고, 적합한 디자인 해결안을 도출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반대로, 높은 확정화 수준의 디자인 과제의 문제-해결 과정은 보다 결정적이며, 보다 나은 사용성을 가진 구체적인 디자인 해결안을 도출할 수 있다고 디자이너가 평가하였다. 디자인 행위의 동적 변화와 디자이너의 평가 결과 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전 디자인 행위에 대한 목적영역 백분율과 디자이너의 컨셉 생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목적-기반 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이 컨셉 생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문제영역의 단위 사고 당 증가는 디자인 해결안의 기능적 유용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문제 분석이 기능적 유용성 증가에 중요한 요인임을 뒷받침한다. 문제영역의 시작점은 디자이너의 디자인 문제의 흥미로움에 대한 평가 결과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디자인 문제가 보다 흥미로울수록, 문제영역의 시작점이 초반에 나타남을 말한다. 해결안영역의 시작점은 디자이너의 컨셉 생성, 과정의 창의성 및 용이성, 해결안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결과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해결안영역이 초반에 등장할수록, 디자인 문제-해결 과정은 보다 창의적이고 쉽고, 디자이너는 디자인 컨셉을 보다 잘 생성하며 보다 나은 해결안을 도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08003
형태사항 xii, 185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곽소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수록잡지정보 : "Triad Problem-Solving Model of Design with a Controllable Determinization Level". Bulletin of Japanese Society for the Science of Design (JSSD), v.55.no.1, (2008)
Appendices : 1, Instructions and the consent form. -2, Design tasks. -3, The post-experiment survey. -4, PRL reliability (X100) for three categories given number of judges and proportion of interjudge agreement. -5, PRL reliability (X100) for two categories given number of judges and proportion of interjudge agreement. -6,Data coding in the 1st training session. -7, Data coding in the 1st pilot test. -8, Data coding in the 2nd training session. -9, Data coding in the 2nd pilot test, -10, The original copy of a designer's sketchs(The designer number 1's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task 1). -11, A predetermined text segments(The designer number 1's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task 1). -12, The data coding of the full sample (The designer number 1's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task 1).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32-13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