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신생벤처의 성장이론: 기업가적 의지에 의한 기회실현 = A theory of new venture growth: opportunity realization driven by entrepreneurial intent
서명 / 저자 신생벤처의 성장이론: 기업가적 의지에 의한 기회실현 = A theory of new venture growth: opportunity realization driven by entrepreneurial intent / 차민석.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933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08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315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08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essence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s interaction between the entrepreneur and opportunity (Shane and Venkataraman, 2000). The entrepreneur discovers a newly emerging opportunity and realizes it by building newly needed capability to serve the market with a new business opportunity. The entrepreneur should find resolutions to numerous obstacles and fill gaps between resources of entrepreneur and resource for opportunity to be realized. There are countless predictable and accidental pitfalls and commonly experienced is the ‘liability of newness’ (Stinchcombe, 1964) during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n the way to opportunity because the road to be taken is often not the one taken. The process has intended and serendipitous outcomes like newly combined resources and new products. There is also a growing market force to compete against the new ventur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overcome adverse conditions and obstacles in favor of opportunity realization. There needs the ‘internal’ force to drive the entrepreneurial process against adverse conditions and negative market forces.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internal driving force of opportunity realization. In doing so, we theorize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entrepreneur and opportunity. Here, we view the entrepreneur as an agent who has an internal driving force, entrepreneurial intent, i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He or she performs entrepreneurial actions that discover opportunity, take and manage risk and fill the gap between the present and required level of resource. Opportunity can be defined as a potential situation in which entrepreneur can satisfy emerged unmet needs in the market. Opportunity realization proceeds from taking and managing risk, accumulating and combining resources, building a system that satisfies recognized opportunity. As opportunity is realized, the venture grows to occupy a new market position by gaining legitimacy of the value it delivers. Entrepreneurial intent is a vector of drive and directivity; Entrepreneurial intent ≡ Drive $\cdot$ Directivity(cf. F=ma or e -$e+$). Entrepreneurial intent is the mental force that realizes the value of a new business opportunity by driving the entrepreneurial activities to resolve the obstacles and to fill the gap on the way to the opportunity. In established corporations, strategic intent plays the role of entrepreneurial driving force; a strong obsession of victory to win over rivals in the long term (Hamel & Prahalad, 1989; 1994). Entrepreneurial intent, on the other hand, is the focus not only on competitors but on opportunity itself.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intent last as long as the drive and directivity remains. Intent gives the strength to sustain the effort to overcome obstacles despite unintended results. It takes time to show the difference it makes. If the entrepreneur has weak intent and difficult situations/circumstances come, he or she gives up the pursuit of opportunity. The entrepreneur with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focuses on opportunity and sustains effort until the recognized opportunity is realized. Entrepreneurial intent has a more dramatic effect when the venture has fewer resources than its competitors. A strong intent with a lack of resources gives a stronger sense of crisis and increases the R&D efficiency for developing technology (Kim, 1998). The venture will have more chances for actions and focus on it more obsessively that will realize opportunity and grow in more dynamic environments. The venture with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will find a way of winning in the end. That means looking for the potentially valuable resources that are difficult to be copied when competitors with weak intent withdraw from the market or stay in the status quo. Hypotheses are suggested to test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intent. The sample was constructed from a list of firms registered i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in Korea. A research team at KAIST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for surveyed data collected by SMBA. The sample ventures consist of 1119 firms that have been established less than 8 years. The 3-year lagged impact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 are tested with the estimation of the firm growth model (Barron, Best, & Hannan, 1984). Industry and firm age a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thesis describe that the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has long-term impact on opportunity realization. Entrepreneurial intent has a greater effect when financial resources are liable, that is overcoming the ‘liability of newness.’ The venture with the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grows faster under dynamic environments where opportunity is at a state of emergence and chances for entrepreneurial action are frequent. However, it cannot overcome a saturated market structure, although entrepreneurial activity is expected to play a subversive role in the industry (Schumpeter, 1934). These findings suggest there is an essential clue to predicting and promoting entrepreneurial activity. The entrepreneur who has the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will have a greater chance to realize opportunities. It is because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s to fill gaps and resolve obstacles through entrepreneurial intent. If the nascent entrepreneurs want to create new ventures, they should consider their own entrepreneurial intent. Is it really strong and true? Does it have strong drive and clear directivity? Entrepreneurial intent is constructible. There are two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intent: drive and directivity. If the nascent entrepreneur gets to know that he or she does not have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what can he or she do? The simple answer is to construct and change the state of entrepreneurial intent by the two aspects: drive and directivity. How can we strengthen drive and directivity? At present, we think that drive can be strengthened by constructing a sense of crisis (Kim, 1998) and directivity by critically experiencing the existence of opportunity and setting a challenging vision. There is also a dark side of the strong entrepreneurial intent that destroys the balance of personal life and business. The entrepreneur should get support from his or her family to realize opportunity in difficult situations. Controlling entrepreneurial intent to drive activity is a critical part in this situation. When the market condition is competitive and saturated, entrepreneurial intent has a negative effect. The vector i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has been suggested recently (Lee and Venkataraman, 2006). The aspiration vector is related with a drive vector of entrepreneurial intent that provides energy to be exerted. The perception of a market offering vector reflects the benefit of opportunity so it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directivity in entrepreneurial intent. Entrepreneurial intent is initially related with the decision to exploit opportunity. After beginning a new venture, it is the real vector that drives and energizes the entrepreneurial process in the interaction of entrepreneur, resource, and opportunity through resolving the confronted obstacles, taking chances for entrepreneurial action for combining new resources and filling resource the gap between the present and required level.

신생벤처(New venture)의 성장과정에서 기업가가 사업기회를 발견하고 실현시키는 '기업가적 과정(entrepreneurial process)'의 본질을 설명하는 이론구축과 검증에 역점을 둔다. 신생벤처의 성장이 경제적인 부의 창출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하다는 점과 기업가정신에서 고유한 이론개발이 필요하다는 요구에 부응하고자 연구되었다. 신생벤처들은 성장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부딪히며, 이를 견뎌내려면 외적 압력에 상응하는 내부적인 힘이 필요하다. 새로운 벤처의 경우 아직 필요한 자원들이 온전히 구축하기까지는 숱한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 난관들을 극복해서 기회를 실현하는 성공한 중소벤처기업들에서 발견되듯이 이러한 장애를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초점을 잃지않고 지속하도록 해주는 내적인 추동력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회실현의 내적추동력(internal driving force)은 기회에 대한 믿음과 위기의식에 기반한 '기업가적 의지(entrepreneurial intent)'이다. 강한 기업가적 의지는 심각한 어려움 속에서도 '위기의식'과 가능성에 대한 '기회의식'을 바탕으로 극단적인 동기부여 상태를 보여준다. 즉, 기업가적 의지가 강할 때, 기업가는 시간과 에너지를 기회와 관련된 활동에 쏟게 되는 전향(channeling)효과가 나타난다. 기회를 향해가는 과정에서 나타는 문제들의 해결에 집중(concentrating)하는 효과를 통해 새로운 해결책을 발견하게 된다. 필요한 자원의 획득을 위해서 노력을 지속(continuing)하는 효과를 통해, 전반적인 자원이 기회실현을 위해 결합 및 배열되게 한다. 이러한 신생벤처의 기업가적 활동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효과(3C effect)를 바탕으로 기회실현 과정에서 놓이게 되는 장애(obstacles)와 차이(gap)을 극복하게 된다. 시장이 요구하는 수준의 제품을 만들게 되고, 시장에서 자리잡는 기회실현과정에서 우연성(serendipity), '불확실성 (uncertainty)'과 '경쟁상황 (competition)'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높이는 것이 내적추동력인 기업가적 의지의 구성과 벤처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인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한다. 연구 결과는 기업가에게 스스로를 돌아보고 지속적으로 자신과 조직을 점검하는데 쓰일 수 있고, 기업가와 정책실무자들, 기업가의 교육훈련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크게 문헌, 이론, 검증의 세가지 부분이 중심이 된다. 문헌은 기업가정신의 최근 7년간 연구흐름 전체를 분석하여, 연구기회와 방향, 그리고 이를 실현하는 연구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론은 기본적으로 기업가정신의 고유이론 개발에 기여하기 위해서 관련된 분야의 이론적 요소들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기본적 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사례를 바탕으로 보다 심화하고 고유한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적 과정을 설명하였다. 검증은 벤처성장을 예측하는 가설을 제시하고, 종단적 성격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추가로 기업가를 중심으로한 기업가적 과정의 일반모형을 제시하였다. 제1장은 서론에 해당하는데 벤처성장에 대해서 연구하게 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기업가적 과정으로 현상을 파악하고 가장 본질적인 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와 접근방식, 그리고 전체적인 연구의 내용 및 구성을 다루었다. 제2장은 벤처경영과 기업가정신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연구방향을 개진하였다. 벤처성장 연구와 기업가정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방향과 기회를 설정한다. 그리고 벤처성장 연구와 기회 및 기회실현과정, 그 과정에서 작용하는 기업가의 동기와 활동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3장에서 이론개발을 하는 토대를 제공하는데, 관련된 조직연구, 기업가적 잠재력과 실현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자원기반관점 및 통태적 역량 등의 전략연구들에 대해서도 논의에 포함하였다. 제3 장은 벤처성장은 기술, 시장, 재무, 조직의 네 가지 차원에서 당면문제들이 나타나고 이를 해결해 가능 과정으로 모형화하였다. 순차적인 지배적인 문제들과 함께 예상치 못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가기 위해서는 과정을 내적으로 추동하는 힘이 있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면, 기업가적 의지가 기업가들이 수많은 난관을 헤쳐나가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는 기업가적 의지가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하며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제4장은 '기업가적 여정'을 통해서 기업가적 의지는 자원을 결합하여 시장의 기회를 실현시킨다. 기업가적 의지는 기회를 향해서 가는 경로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지향적 성장'을 성취한다. 기업가적 의지에 의해서 시작된 기업가적 여정은 기회실현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결합해 나감으로써 '자원 격차'를 해소하고, 고객이 요구하는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완성이 된다. 제 5장은 위에서 제시된 신생벤처의 성장이론인 '기업가적 의지에 의한 기회실현'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부분이다. 연구모형의 첫번째 부분에서는 신생벤처의 성장은 자원의 제약을 극복해 가는 과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기업가적 의지가 '새로움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기업가적 핵심' 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두번째 부분에서는 기업가적 의지가 실제로 기업가적 활동을 추동하고, 이러한 활동들이 성장단계, 당면문제 등의 상황적 요인과 작용하여 3년의 시간차를 두고 나타난 벤처성장을 예측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제 6장은 기업가적 과정에 대한 관점을 보다 일반화하여 제시하였다. 기업가와 벤처, 산업 그리고 환경의 다중수준을 통해서 기회가 실현되어 가는 과정을 모형화하였고, 네 가지 차원에서 일어나는 활동에 의해서 기회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기업가적 여정은 보다 단순한 경로와 확실한 기회를 지향하는 경우, 기업가적 의지의 역할을 보다 더 확실해짐으로 네 가지 '기업가적 과정'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서 경계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회실현 가능성을 '기업가적 잠재력'을 통해서 수식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생벤처의 성장을 예측하고 지속적인 기회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제7장은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들과 여기에서 추론된 가설들을 분석한 결과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기업가들과 관련주체들이 기업가적 과정에서 기회실현의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정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업가와 기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업가정신 이론개발의 기회들을 실현해 가는 방향과 방안을 검토 및 제시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08009
형태사항 xi, 173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n-Seok Cha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배종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Zong-Tae Bae
수록잡지정보 : "New Venture Growth as Oopportunity Realization Driven by Entrepreneurial Intent".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Submitted, Nov. 2006),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64-17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