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유지관리 Material을 고려한 옥상녹화의 전과정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Life cycl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green-roof considering materials for maintenance
서명 / 저자 유지관리 Material을 고려한 옥상녹화의 전과정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Life cycl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green-roof considering materials for maintenance / 신상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893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08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earth has a lot of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desertification, ozone layer depletion, while increase of industrialization. Furthermore the city is facing many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water, soil pollution, energy exhaustion and hazardous waste. As a result, the concept of 'Green Building' has emerged from 'Urban Regeneration' for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Green-roof'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Green Building', which is the practice of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while reducing building impacts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e 'Green-roof' has many advantages like beautiful landscapes, creating habitats for birds and invertebrates, reducing energy use and stormwater runoff, moder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s and providing human health benefits. However, heavy initial cost, mo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materials are needed for the 'Green-roof'.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nvironmentally beneficient 'Green-roof' system through improvement in the environmental vulnerable phase and 'Use & Maintenance phase' after Life Cycle Assessment(LCA) an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roof'. The 'Green-roof' that was designed for this study has 400㎡ of roof area, 5 floors and is a type of intensive green-roof system which is planted with shrubs and flowers. As a result of LCA,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amount of $CO_2$ generation was much more than the other gases at all phases in 'Green-roof' and 'Conventional-roof'.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reen-roof' had about one-half of the impact of 'Conventional-roof' due to the advantages of 'Green-roof' like energy saving and life extension of roof. The most vulnerable phase was 'Raw materials acquisition & Manufacturing phase'. However, after replacement with eco-friendly materials and improvement of maintenance, the environmental impact was reduced largely at the 'Raw materials acquisition & Manufacturing Phase' and 'Use & Maintenance Phase'. Therefore, the 'Green-roof' is an alternative to the 'Green Building' because of many advantages, through the improvement in materials and maintenance.

지구는 인류의 산업이 발전하면서 지구온난화, 사막화 현상, 오존층 파괴 등 심각한 환경 문제가 초래되었다. 게다가 도심지에서도 대기, 수질, 토양 오염과 에너지 고갈 및 폐기물 등으로 많은 도시환경문제에 직면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환경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도시재생'이라는 단어와 함께 '그린빌딩'이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옥상녹화'는, 인간과 환경에 대한 영향 및 부하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실현할 수 있는 '그린빌딩'의 충분조건이다. 옥상녹화는 도시미관 개선, 생물 서식공간 마련, 에너지 절감, 강우 유출량 감소, 열섬 현상 완화, 쾌적한 도시 환경 제공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기비용의 부담, 옥상녹화의 시공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어 쉽게 활용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옥상녹화를 유지관리 Material을 고려하여, 일반옥상 및 지상녹화와 평가 비교하고 환경적으로 취약한 단계 및 개선 가능한 단계를 찾아 개선평가를 통한 지속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을 도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옥상녹화는, 면적은 400㎡이고 5층 건물이며, 관목류와 외래세덤류, 자생초화류 등을 식재한 관리/중량형 옥상녹화시스템이다. 목록분석 결과, 대기오염물질 중 옥상녹화와 일반옥상 및 지상녹화 시스템 모두 CO2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환경영향 평가 결과, 옥상녹화로 인한 에너지절감효과 및 건물수명향상에 의해 옥상녹화가 일반옥상 및 지상녹화 보다 50\%정도 환경적으로 더 유리하였다. 옥상녹화의 환경적 취약 단계는 '원료물질채취 및 제품제조단계'였다. 그러나 원래 사용되었던 Material을 환경적으로 더 유리한 Material로 교체하고, 유지관리를 개선한 결과 '원료물질채취 및 제품제조단계'가 개선되고 '사용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도 환경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옥상녹화는 Material과 기존 유지관리의 개선을 통하여 옥상녹화의 장점과 함께 '그린빌딩'의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08010
형태사항 vii, 8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1, 각 영향범주별 특성화를 위한 영향 Factor. - 2, 건물수명향상 변화에 대한 영향 평가 결과. - 3, 에너지 젊가효과 변화에 대한 영향 평가 결과. - 4, 옥상녹화 Material 수명의 변화에 대한 영향 평가 결과.
저자명의 영문표기 : Sang-Min Shi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희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ee-kyung Park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4-6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