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No와 NO2 동시 반응을 통한 자동차용 혼합전위 방식 NOx 센서의 감지 기구 = Sensing mechanism of mised potential NOx sensor for automotive exhaust in simultaneous response to NO and NO2 mixture gas
서명 / 저자 No와 NO2 동시 반응을 통한 자동차용 혼합전위 방식 NOx 센서의 감지 기구 = Sensing mechanism of mised potential NOx sensor for automotive exhaust in simultaneous response to NO and NO2 mixture gas / 윤병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868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AME 0702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ixed potential NOx sensors for automotive exhaust were fabricated by using YSZ(yittria stabilized zirconia) and oxide sensing materials. Through simultaneous response to $NO_2$ and NO, sensing behavior of the sensors was studied at the temperature of 700℃ in 10% $O_2$ containing atmosphere. The EMF and I-V characteristics have been correlated with the $NO/NO_2$ concentrations that are measured by gas analyzer in an effort to elucidate the sensing mechanism of oxide electrode.

700도 이상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정확한 NOx 총량을 안정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혼합전위방식의 NOx 센서를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NOx를 효과적으로 감지 할 수 있는 감지 물질 NiO-YSZ와 CuO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센서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해질은 기존에 산소 센서에 적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된 지르코니아 산소 이온 전도체를 이용하였으며 다양한 감지 물질을 합성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CuO와 NiO-YSZ의 혼합물이 700도의 산소가 10% 함유된 환경에서 각각 61mV($NO_2$ 350ppm+NO 135ppm)와 81mV($NO_2$ 350ppm+NO 135ppm)로 가장 좋은 감도, 반응 속도와 회복속도를 안정적으로 나타내어 감지 물질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감지 물질위에서 NO와 $NO_2$가 동시에 존재할 때 NOx의 반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otentiotat을 이용하여 I-V 커브를 분석한 결과 NO와 $NO_2$의 반응이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NO와 $NO_2$의 비율 즉, 총 NOx양을 구성하는 NO와 $NO_2$의 비율에 따라 분극곡선이 변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농도의 NO와 $NO_2$에 따른 기전력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NO의 농도 변화에 따라 기전력은 선형적으로 변하고 $NO_2$의 농도에 변화에 따라 대수적 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와같은 결과로부터 혼합전위방식의 NOx 센서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서로 다른 감지 물질을 갖은 혼합전위 방식의 NiO-YSZ 감지 전극 센서와 CuO 감지 전극 센서를 이용하여 $NO_2$가 풍부한 영역에서의 각각의 NO와 $NO_2$뿐만 아니라 NOx 총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AME 07027
형태사항 iv, 59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Byoung-Young Yoon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ong-Ook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종욱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신소재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6-5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