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페이크 다큐멘터리에서 초두효과 기법에 의한 서사적 실감생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reating narrative presence by the primacy effect in fake documentary
서명 / 저자 페이크 다큐멘터리에서 초두효과 기법에 의한 서사적 실감생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reating narrative presence by the primacy effect in fake documentary / 최수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864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07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hen people see fake documentaries, they have often difficulty in telling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fake, From this point of view, fake documentary is a mode of cinema which can make people(spectators) feel real, which is called 'narrative presence'. Narrative presence is a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the virtuality of experience is unnoticed, but it is different from `perceptual presence` because it occurs from the reasoning process of mind not the perception process.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reating narrative presence in fake documentary, and it focuses on how people are affected by the narrative techniques of fake documentary. In detail, it starts to investigate previous theoretical works that tried to explain the mechanism of creating presence in fake documentary. Among others this thesis accepts a cognitive approach and suggests theoretical model of narrative presence. In this model, narrative presence depends on the level of `truth bias` which occurs from the process of reasoning.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some examples, It tries to find narrative techniques which cause truth bias,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Primacy Effect' techniques that is worked in the opening part of narrative. It is able to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nfession', 'Labeling(Act of Naming)', and 'Description(Reality-Effect)'. Finally, an experiment to test whether these techniques actually lead to truth bias or not is carried out. Measuring the level of truth bias between tested group who saw the primacy effect removed fake documentary and control group who saw the original fake documentary, in result the primacy effect has influence on people but it is also influenced by people. It means that user factor does matter. Therefore I discuss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 some plans to improve it.

페이크 다큐멘터리는 수용자들의 종종 그것을 실제 현실과 구분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높은 수준의 서사적 실감을 경험하게 해주는 영화양식이다. 본 연구는 페이크 다큐멘터리에서 나타나는 서사적 실감의 생성 매커니즘을 그것이 활용하고 있는 기법적 특성이 어떻게 수용자들에게 받아들여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페이크 다큐멘터리의 실감생성을 설명하고자 했던 다양한 이론적 시도들을 검토하고, 이 중 인지주의적 관점을 채택하여 서사적 실감은 수용자들의 추론과정에서 나타나는 `진실편향(Truth Bias)`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적 설명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에 따르면 수용자가 페이크 다큐멘터리에서 느끼는 서사적 실감의 정도는 그 영화가 담고있는 진실편향 유도기법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페이크 다큐멘터리의 서사적 실감을 생성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진실편향 유도기법들 가운데, 본 연구는 서사 도입부에서 사용되는 `초두효과(the Primacy Effect)` 기법에 특히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초두효과 기법을 `선언`, `명명`, `묘사`라는 세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각 기법들이 구체적인 작품 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지 분석하였다. 또한 각 기법들이 수용자들에 실제로 `진실편향`을 유발하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두효과 기법이 활용된 페이크 다큐멘터리 영상과, 그 기법을 제거한 영상을 본 수용자 집단 사이의 `진실편향` 정도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초두효과` 기법이 수용자들의 진실편향을 유도하여 서사적 실감을 생성하는데 부분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모든 수용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일으키기보다, 수용자 변인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경향이 나타나 향후 수용자 변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향후 서사적 실감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본 연구의 개선방향 및 보완지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07014
형태사항 v, 93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1, 수용자 반응 설문지(1차). - 2, 수용자 반응 설문지2차)
저자명의 영문표기 : Soo-Young Choe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m, Tak-Hw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탁환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4-8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