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컨템포러리 회화 작품 감상 시 작품정보가 감상자의 미학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 = Neuroimaging study for the effect of information about paintings on aesthetic preference for contemporary paintings
서명 / 저자 컨템포러리 회화 작품 감상 시 작품정보가 감상자의 미학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 = Neuroimaging study for the effect of information about paintings on aesthetic preference for contemporary paintings / 박성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863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07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esthetic preference for paintings is the outcome of complex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memory. As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paintings requires pre-requisite knowledge on painter`s style and philosophy as well as basic comprehension of contemporary arts, some contemporary works are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udy aims at assessing the effect of painting`s information on aesthetic preference for the contemporary paintings. We showed 8 contemporary paintings (Jackson Pollock, Jasper Jones, Paul Klee, Damien Hirst, Yves Klein, Barnett Newman, Gehard Richter, and Victor Vasarely) to 116 participants with paintings` information including the artist name, the subject of the work, the comments from the artist and a reviewer, and the highest bid price. Aesthetic preference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s. We found that their aesthetic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given information was increased, particularly for the comments from painters and reviewers. Furthermore, we scanned event-related fMRI images from 17 subjects as painting`s information is offered during appreciation of 6 paintings. Several regions including right superior frontal gyrus, anterior cingulate, and left putamen exhibited significant activations during the appreciation and their activation intens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rated aesthetic prefer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sthetic preference for contemporary paintings can be enhanced by painting`s information, particularly resonant information like comments of painters or reviewers about the painting.

미학적 선호는 개개인의 경험에 따른 복잡한 인지과정을 거쳐 생겨나는 결과이다. 현대 미학자들은 컨템포러리 회화의 본질을 지각적인 것을 넘어서는 예술 철학에서 찾고 있다. 한편 예술작품을 투자의 대상으로 보면서 경매에 대한 관심 또한 증폭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개인의 미학적 선호는 기존의 지식과 경험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며 그러한 지식이 뒷받침될 때 동일 대상의 미학적 선호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미술관에서 컨템포러리 회화를 감상하는 사람들에게 5가지(1. 작가, 2. 작품제목, 제작방식, 3. 작가가 작품에 대해 남긴 말 혹은 글, 4. 유명 비평가의 평론, 5. 각 작품에 관한 최근 경매가) 작품 관련된 정보를 주었을 때 미학적 선호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fMRI(자기공명장치)를 통해 이러한 미학적 선호 변화의 과정을 촬영함으로써 미학적 선호의 뇌, 인지과정은 어떠한 것인가 알아보았다. 실험에서 제시된 작품은 '데미안 허스트의 메탐페타민', '바넷 뉴먼의 음성2번', '제스퍼 존스의 0부터 9까지', '이브 끌랑의 청색시대의 인체측정 127', '잭슨 폴록의 작품 12번', '파울 끌레의 유령의 출발', '게하르트 리히터의 마리아', '빅토르 바사렐리의 욘'이다. fMRI영상에서 미학적 선호도와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며 활성화 되는 영역들이 나타났다 (Right superior frontal gyrus, Anterior cingulate, Left putamen). 미술관 환경의 실험과 fMRI실험을 통한 실험결과 정보, 특히 예술철학과 관련된 정보인 작가의 변과 비평가의 평이 작품의 미학적 선호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침이 드러났다. 또한 작품과 감상자 사이의 시각적 교감으로 인한 초기 관계와 관람자의 기존 인생관과 공감이 되는 경우에 따라 미학적 선호도의 증가 정도가 달라짐이 드러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07004
형태사항 82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수록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ong-Min Park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ak-Hwa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탁환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Chung-Kon Shi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시정곤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Jae-Seung Jeong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정재승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6-6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