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외환위기 이후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대한 실증연구 : VAR 모형 및 BEKK 모형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stock market volatility since financial currency crisis : using VAR model & BEKK model
서명 / 저자 외환위기 이후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대한 실증연구 : VAR 모형 및 BEKK 모형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stock market volatility since financial currency crisis : using VAR model & BEKK model / 홍철.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94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709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294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709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conditional volatility of stock market returns are related to the conditional volatility of financial variables. It employs a weekly data including Korean stock market returns, interest rate, exchange rate, oil price, Dow-Jones stock market returns over the period from March 1999 to October 2006. Each variable's conditional volatility is estimated using the GARCH(1, 1) model. It also employs VAR model and BEKK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market volatility and economic variables' volatilities. This study finds that the conditional volatilities of exchange rate and Dow-Jon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conditional volatility of the Korean stock market. The conditional volatility of oil price, however, is not related with stock market volatility. In addition, there are time-varying correlations between KOSPI and economic variables employ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KOSPI 주가지수, 이자율, 환율, 유가, Dow-Jones 주가지수 등의 움직임에 있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변동성을 조건부이분산으로 추정하고 변동성과 변화율간의 상호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변량 GARCH 모델중 BEKK 모델을 이용하여 시간이 변함에 따라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주가수익률의 변동성을 설명하는 변수로서 이자율, 환율, 유가, Dow-Jones 종합주가지수를 이용하였으며 조건부변동성은 GARCH(1, 1)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이 모형으로 추정된 변동성은 2001년 9월 9.11 테러, 2003년 3월 이라크 전쟁 발발 등 금융 ? 외환시장이 불안하였을 때 그 크기가 확대되는 움직임을 보임으로써 추정된 변동성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대적인 변동성의 크기는 주가수익률 변동성이 매우 높은데 비해 이자율 변동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변동성간의 상호연관성 분석을 VAR 모델을 이용하여 그랜저인과관계, 충격반응분석 및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을 한 결과 변동성간에는 뚜렷하게 의미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는 변동성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VAR 모델이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BEKK 모형을 통해 KOSPI수익률, 이자율등락률, 환율등락률, 유가등락률, Dow-Jones수익률 등 각 변수들의 상호관계 및 두 변수간 시간가변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모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① KOSPI수익률과 이자율증감률, ② KOSPI수익률과 환율등락률, ③ KOSPI수익률과 유가등락률, ④ KOSPI 수익률과 Dow-Jones수익률 등 4가지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분산을 나타내는 모수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나 각 변수들의 변동성 상호간의 영향을 나타내는 모수는 ② KOSPI수익률과 환율등락률 ④ KOSPI수익률과 Dow-Jones수익률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그 이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BEKK 모형을 통해 시간가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해 본 결과 모든 경우가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④ KOSPI수익률과 Dow-Jones수익률의 경우 분석기간동안 두 변수간 뚜렷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한국의 주식시장과 미국의 주식시장 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7095
형태사항 iii, 51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1, Granger인과관계 검정결과. - 2, 충격반응곡선. - 3,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 결과
저자명의 영문표기 : Cheol H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노재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Sun Noh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9-5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