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국내 기업의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전략 : 비교분석과 전망 = Strategies for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s of Korean firms : comparative analysis and prospect
서명 / 저자 국내 기업의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전략 : 비교분석과 전망 = Strategies for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s of Korean firms : comparative analysis and prospect / 박구룡.
발행사항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89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704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23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704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convergence services of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are pouring in to the market at a global level. In the early stage of convergence industry in Korea, there are diverse issues according to how the overall convergence industry will evol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vergence industry throughout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rategies of Korean firms. Firstly, we classified existing unit convergence services concerning the users’ needs, and analyze the firms’ (KT, CJ CableNet, SK Telecom) convergence services strategies based on the convergence services map. In the process of analysis we found there are the three developmental stages; the early stage of convergence, the stage of fixed-line TPS, and the stage of combining fixed-line and wireless TPS, and especially the digital contents will be the important factors of competitions in the market as the convergence progressed. Finally we predicted how the convergence industry will evolve according to the stage, and how the firm’s strategies will be shifted.

전세계적으로 통신방송 융합이 진전되면서, 융합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융합산업의 초기단계로서 산업 전반적인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이슈들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국내기업들의 융합서비스전략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통신방송 융합산업 전반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것이다. 먼저 기존의 기술, 규제 등을 기준으로 한 융합서비스 분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융합서비스가 지향하여야 할 이용자 욕구를 중심으로 기존의 융합서비스를 단위 융합서비스로 식별, 분류하였다. 통화, 시청, 응용의 이용자 욕구를 기준으로 현존하는 융합서비스를 분류하여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맵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KT, CJ CableNet, SK Telecom)의 융합서비스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융합진입단계, 유선TPS단계, 그리고 유무선TPS단계로 이행되는 융합서비스 발전단계를 도출하였고, 특히 융합의 진전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가 시장 내 경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신방송 융합서비스의 발전단계에 따라서 융합산업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시장변화에 따라 각 기업의 전략방향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7045
형태사항 v, 65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Koo-Ryong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배종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Zong-Tae Ba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정보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0-6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