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ommunities of practice 의 성과측정체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performance measuring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s
서명 / 저자 Communities of practice 의 성과측정체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performance measuring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s / 최인명.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86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7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199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7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fundamental question of adopting or implementing CoP in Korean companies is how can measure the performance of CoP. Not many researchers have involved in the theme relating to the CoP. For those reasons, this study started to find out the assessment framework of CoP and solve some curiosities about CoP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CoP assessment framework using previous researches conducted i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field and case study research also conducted. The sample cases were collected from 9 Korean companies which could represent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CoP of Korea. The framework was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cases. Furthermore, this study indicates some propositions about the assessing CoP and implementing CoP. There are differences in assessing performance of CoP according to CoP type and CoP life cycle. The more activated companies in CoP management have a tendency to distributing their authority and power of assessment to department or division. There are also some findings concerning about encouraging CoP. Early implementing strategic CoP is not helpful to nurturing CoP. The company should not confine life span of CoP to revitalize CoP activity.

현대 사회는 지식의 사회이며 기업 경쟁력의 원천은 지식이고 지식을 효과적으로 창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이 널리 제기되어 왔다(Grant, 1996). 또한 지식근로자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는데 모든 지식근로자는 각자의 지식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성과를 올리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Drucker, 1999; Arora, 2002).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을 도입하고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지식경영을 System차원에서만 접근하여 KMS내에 지식의 등록, 축적과 활용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서 지식경영에 대한 한계가 나타났다. 최근의 연구를 통해서도 KMS를 통한 지식의 공유보다는 사람과 사람의 접촉을 통해서 지식의 전달이 선호된다는 것이 실증 연구로 검증이 되었다(Gray & Durcikova, 2005). 또한 Swan(2000)은 KMS에만 의존하는 지식경영과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까지 포함했던 지식경영과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KMS에만 의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 이와 같은 KMS위주의 지식경영에서 탈피하고자 많은 기업들이 도입해서 운영하고 있는 것이 CoP(Community of Practice, 실행공동체)이다. 공동의 실무를 공유하고 개선활동을 하는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구성이 된 사람들의 형태를 CoP라고 한다(Brown & Duguid, 1991). CoP의 실재적인 운영에 있어서는 학문적인 정의와는 달리 어느 정도 조직의 관리와 지원이 나타나고 있으며 각 기업이나 기관별로도 조직의 문화에 따라 CoP의 활동에 차이가 있다. 학문적으로도 CoP가 자생적으로 나타났어도 리더십에 따라서 그 발달이 달라 질 수 있음이 제시가 되었다(Wenger, 1998). 또한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적 CoP의 활동에 관한 연구도 진행이 되었다(Storck & Hill, 2000). 하지만 아직까지 CoP에 대한 연구가 지식경영 전반에 비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며 현업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관리방안과 같은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CoP를 새로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가장 먼저 겪는 어려움이 바로 CoP의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인데 이에 대한 연구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가 되었고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배경에서 제시된 CoP와 관련하여 모호한 것으로 제시된 CoP의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에 중점을 두고 진행이 된다. 다만 지식경영의 성과 측정에 관한 연구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지식경영의 성과 동인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성과 측정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식경영의 성과를 다시 지식 활동 자체와 그에 따른 조직의 성과로 나뉘어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한다. 첫째, CoP의 성과를 측정하는 일반화된 프레임웍을 제시할 수 있는가? 둘째, 현재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CoP 성과 측정의 방법과 제시된 프레임웍과의 차이가 어느 정도이며 연구를 통해 제시된 틀을 통해서 실제 CoP의 성과측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셋째, CoP가 활성화되어 있는 기업과 도입 초기에 있는 기업과 CoP 성과측정의 방식에는 차이가 존재하는가? 넷째, CoP의 유형에 따라 CoP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다섯째, CoP의 발달단계에 따라 CoP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산학협동과정인 KAIST 지식경영연구센터에 회원사로 가입하여 있는 9개의 기업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9개의 기업은 국내의 지식경영에 있어서 모범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고 각종 학회에 사례가 발표되었으며 시상을 받은 기업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지식경영연구센터에서의 활동을 통하여 유사한 수준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판단 하에 연구가 진행이 되었다. 개별 기업의 실명을 밝히는 것을 원하지 않는 기업이 있어서 편의상 A사부터 I사까지 표현하였고 자료의 수집에 한계가 있었던 I사는 연구의 최종단계에서 제외가 되었다. 본 연구는 총 7장으로 구성이 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해서 간략히 언급을 하고, 제2 이론적 배경에서는 CoP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CoP의 성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CoP의 성과 측정과 관련한 이론적인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연구방법론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제 5장에서는 기업의 실행공동체 성과 측정에 관한 사례연구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제 6장은 사례연구를 종합하고 그와 관련한 명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진행이 되었다. 제7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7022
형태사항 vi, 92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In-Myung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Gul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5-9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