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지식 확산이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knowledge spillover on firms R&D performance
서명 / 저자 지식 확산이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knowledge spillover on firms R&D performance / 이자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82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61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Questions on whether knowledge spillover facilitates innovation and to what extent it does still remain to be answered in Korean literature. I estimated the production function of economically valuable new knowledge using patent applications and R&D expenditures data of 251 Korean firms in 1981~2003.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take into account technological proximities among Korean firms, thereby correctly estimating inter-firm spillover effects. R&D expenditure, stock of knowledge, R&D activities of technological neighbors non-linearly increased innovation. There was a diminishing return to R&D, which was partly offset by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knowledge spillover. Firm-specific attributes such as size and R&D intensity conditioned firms' R&D performance. The primary sources of innovations of large or R&D intensive firms were their own R&D expenditure and stock of knowledge. On the other hand, small firms and not R&D-intensive firms produced more innovations from others’ R&D rather than from their own R&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symmetric knowledge spillover among firms may be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stylized fac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D productivity and firm size. Also, it implies that appropriate managerial decisions and public policies on innovation should be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party.

최근 들어 기업의 기술혁신에 있어 대내외적인 지식 공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지식 확산이 실제로 연구개발 성과를 증가시키는지, 그러한 영향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251개 한국 기업의 1981년~2003년 특허출원 및 연구개발 자료를 이용하여 지식 생산 함수를 추정하였다. 본 논문의 특징은 기업간 기술 인접도를 고려하여 지식 확산 원천의 크기를 도출하였으며, 규모 및 연구개발 집약도 등 개별 기업의 특성에 따라 지식 확산의 영향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남을 보였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기업의 연구개발 지출, 지식 저량, 지식 확산 원천이 클수록 특허 출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기업들이 자신과 유사한 기술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많이 할수록 지식 확산이 많이 일어나 자신의 연구개발 성과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지식 확산의 혜택은 중소기업과 연구개발 집약도가 낮은 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과 연구개발 집약도가 높은 기업은 외부로부터 확산된 지식보다는 자신의 연구개발이 기술혁신에 더 중요한 요소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혁신전략이 자신의 고유한 특성에 맞게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6112
형태사항 v, 54, [3]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1, 분석 대상 기업의 산업별 분포. - 2, 주요 변수 산출에 이용된 재무제표 정보
저자명의 영문표기 : Ja-You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창양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성태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Yang Lee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Tae-Yoon Sung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0-5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