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대학 ERP 도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대학 및 교육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RP implementation : cases of industrial and educational universities
서명 / 저자 대학 ERP 도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대학 및 교육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RP implementation : cases of industrial and educational universities / 이소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58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61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063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61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ver since the implementa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implementation factors for ERP success. For the most part, related studies just investigated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ERP implementation in corporate sites. Specially, there are few studies of examining ERP implementation in Korean university sites. This thesis attempts to categorize implementation factors for ERP success and then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RP success factor and performance in terms of system efficiency and business effectiveness. Our research frame is derived from studies for information system succ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factors,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o 300 ERP users in industrial and educational universities. This study provides pracrical implementation factors for ERP success. These finding may serves helpful guidelines for the universities that are currently using ERP or considering its introduction.

본 연구는 대학 ERP 시스템 도입의 성과를 사용자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대학 ERP 시스템의 도입이 행정 업무용으로 도입되는 만큼 시스템 효율성을 포함한 업무 효과성을 성과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이들 성과 지표와 주요 영향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여러 ERP 시스템 도입의 성공을 위한 영향요인들로 발췌, 정리후, MIS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해당 주요 영향 요인을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조직요인에 최고경영층 지원, 기관의 지원, BPR 수용정도, 프로젝트 관리, 조직 분위기의 5가지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사용자 요인에 교육 및 훈련, 사용자 업무 참여도, 사용자의 정보화 능력의 3가지 변수를 선정하였고, 시스템 요인에 시스템과 정보 품질의 2가지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벤더사의 요인을 선정하였고 관련 측정 항목을 구성하였다. 현재 국립 산업대학과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진행중인 대학 행정정보시스템(ERP) 도입 사업의 대상기관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로 대학 ERP 시스템 도입을 완료하고 사용 중인 대학 업무 담당자들이 주 대상이 되었다. 총 315부의 설문을 수거하였으며 그 중 설문의 목표에 부합되지 않다고 판단되는 15부를 제외한 300부의 응답을 바탕으로 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의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크론바하 알파 계수값과 문항간의 상관계수를 고려하여 시스템 품질의 6번째 문항의 삭제를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타당성 분석을 통하여 11개의 요인으로 분리되어 적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 요인의 변수를 문항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교육 및 훈련, 개인업무참여로 조정하였고, 아울러, 조직의 분위기는 조직원의 협조성과 의사결정 경직성으로 세분화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적재값이 0.5이상으로 매우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회귀분석을 위하여 다중 공선성이 없음을 확인한 후 회귀분석을 이용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독립변수로 11 가지 ERP 시스템 도입의 주요 영향 요인을 놓고 종속 변수로 시스템효율성과 업무 효과성을 선정 후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다시 시스템 효율성을 독립 변수로 업무 효과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11가지 도입의 주요 영향 변수들 중 준비수준, BPR 수용정도, 프로젝트 관리, 조직원 협조성 4가지 변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으며 나머지 7가지 변수들 중 시스템 품질, 벤더사 역량은 업무 효과성과 시스템 효율성 모두에 나머지 5가지 변수는 업무 효과성에만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스템 효율성과 업무 효과성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연구 모형을 확인하였다. 시스템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는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벤더사 역량, 의사결정 경직성, 교육 및 훈련, 사용자 업무 참여, 최고경영층 지원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기존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된 연구 모형에서의 결과와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대학 ERP 시스템 도입의 성과를 위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보여준 주요 영향 요인들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더 대학의 특성과 처해있는 현실을 잘 반영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고, 향후 ERP 도입에 따른 업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업에서의 ERP 시스템 도입 전략과는 다른 전략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추가적으로 각 대학기관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기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려 하였으나, 올해로 3차년도에 접어든 사업이긴 하나 본 연구의 설문 응답의 대상이 된 사용자는 70% 이상이 시스템 사용기간이 6개월 미만인 응답자로 이루어져 있어 시스템의 사용기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고, 다만,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구성원의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해 보았는데 산업대학과 교육대학 집단간의 분산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6104
형태사항 v, 122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o-You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희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ee-Seok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11-11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