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영화 흥행 결정 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 정보 가능 시기별 경로 분석을 기반으로 = Integrated research on motion picture success factor : based on information available period
서명 / 저자 영화 흥행 결정 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 정보 가능 시기별 경로 분석을 기반으로 = Integrated research on motion picture success factor : based on information available period / 김대승.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49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6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010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6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Korean movie market is growing fast since 1999. As the market gets greater, we find highly successful movies as well as terribly failed movies more frequently than ever. In this thesis, by integrating key determinants for movie success, we develop models that forecast the number of viewers for a movie. Using a sample of data for movies that were in theaters in between May 2004 and August 2005, the models were estimated. Even though main factors for success are similar, there were differences in forecasting models because more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foreign movies than domestic movies. For domestic movies, star power, production cost, viewers review, number of screens, first week box-office and director were found to b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for foreign movies, first week box-office of the original film-made nation, several genres as well as first week succes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한국 영화 시장은 멀티 플렉스 극장 중심으로 영화관이 재편된 1999년 이후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영화 시장이 커져감에 따라 상업적으로 높은 흥행성적을 기록한 영화들이 생겨났지만 한편으로는 상업적으로 실패하여 투자사에 막대한 손실을 입히는 영화들 또한 이전보다 많아졌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흥행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 주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써 영화 관객수를 예측하는 모형을 도출하였다. 2004년 5월에서 2005년 8월 사이 국내에서 개봉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모형이 추정되었다. 추정 결과 국내 영화와 외국 영화 사이에 주 요인들은 유사하지만 외국 영화의 경우 더 많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어 예측모형에 차이를 보였다. 외국 영화의 경우 국내 영화에 비하여 모형의 설명력과 예측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영화에 대해서는 스타 파워, 제작비, 관람객 평점, 스크린 수, 첫 주 관객 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 영화에 대해서는 제작국가의 첫 주 성적, 장르가 첫 주 관객수와 더불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을 통한 예측 결과는 Benchmark 모형들에 의한 예측 결과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여 실무적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6005
형태사항 iv, 6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ae-Seung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한민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in-Hi Hah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7-5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