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Narrative abstraction model을 위한 대화 기반 씬 요약 = Dialog-based scene abstraction for narrative abstraction model
서명 / 저자 Narrative abstraction model을 위한 대화 기반 씬 요약 = Dialog-based scene abstraction for narrative abstraction model / 이주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745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S 06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utomatic video abstraction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active research areas in multimedia applications. Video abstraction has different abstracting approaches according to the type of video. Story-oriented video such as a TV-drama is popularly watched on the web, but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create an abstract because it doesn't have manifest structure. Narrative Abstraction Model (NAM) is the first research that analyzes and uses the structure of drama for abstraction. Although NAM creates more consistent abstracts than those from previous approaches, NAM could not show maximum efficiency because NAM abstracts include unnecessary parts in a scene, an abstracting unit in NAM. This paper proposes a dialog-based scene abstraction method for NAM. Our method uses a structure that covers a dialog part in a drama, called the dialog segment. After extracting dialog segments, we shorten the length of dialog segments by removing parts without speech. Using our method, NAM abstracts can include more accidents in same duration and create more efficient abstract. In the evaluations, we show the efficiency of abstracted scenes and the quality of abstraction results.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동영상 요약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arrative Abstraction Model(NAM)은 드라마의 구조를 이용하여 동영상 요약을 생성하는 연구이다. NAM은 기존의 요약 방식에 비해 일관성 있는 요약을 생성하지만, 요약 단위로 드라마 씬을 사용하기 때문에 씬 내의 불필요한 부분까지 요약에 포함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씬의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하여 씬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화를 기반으로 드라마 씬의 길이를 줄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대화 기반 요약을 수행하기 위해 대화 세그먼트를 정의, 추출하고 대화 세그먼트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최종 요약 씬을 생성한다. 제안한 요약 씬은 NAM이 더욱 효과적인 요약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험에서는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제안한 방식의 정당성을 검증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S 06003
형태사항 vi, 3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oo-You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윤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on-Joon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9-31
QR CODE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