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인터페이스로서의 신체 :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신체의 의미와 역할 : The body as interface :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body in interactive art :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embodied cognition theory
서명 / 저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신체 :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신체의 의미와 역할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구현인지이론을 바탕으로 = The body as interface :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body in interactive art :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nd embodied cognition theory / 이수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672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T 05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recent development in digital technology implies that the digital information, now residing in computers and networks, will expand into our physical environment, constructing a new information environment called Augmented Reality. As digital information becomes more and more material, in this environment, we as physical beings will have to interact with digital information using our whole bodies. Th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however, has only been realized in restricted experimental surroundings, and research about how people react to information in this environment, has been limited to certain experiment results. Unlike these, interactive art offers a more open possibility of interaction in a digital information sphere provided by the artist among the artist (the architect of the environment), the artwork (the environment itself) and the spectator (the participant). Merleau-Ponty ha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body’s involvement in percepti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Embodied Cognition Theory develops that perspective in a more scientific method. Based on those two theoretical viewpoints, this thesis focuses on analyzing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body in interactive art as a part of the interface, and examines how the body might function in an environment where digital information intertwines with our physical reality.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와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에 머물러 있는 디지털 정보들이 우리의 물리적인 환경과 결합하여, 일상 공간에 새로운 층위를 형성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한 확장현실 환경이 구현되었을 때, 그 안에 살아가는 우리는 온 신체를 통하여 디지털 도구들, 정보들과 상호작용하게 될 것이다. 확장현실 환경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반응하고, 적응할 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 제한된 일부의 연구 환경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랙티브 아트는 하나의 정보 공간으로서, 우리가 새로운 디지털 정보 환경에 처했을 때, 작가(환경의 설계자), 작품(환경 자체) 그리고 관객(참여자) 사이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발생할 지를 엿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메를로-퐁티는 일찍이 철학적인 관점에서 인지에 있어 신체와 환경이 갖는 중요성을 철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고, 구현인지이론은 이러한 견지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신체에 대한 이 두 이론적인 관점들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인터페이스의 일부러 기능하고 있는 신체의 기능과 역할을 밝혀 디지털 정보가 우리의 물리적인 환경과 결합되었을 때, 우리의 신체가 어떻게 기능할 지를 예상해보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T 05005
형태사항 [v], 93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oo-Ji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창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Young L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학제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8-9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