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전기·전자제품의 환경성 분석 및 재활용 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recycling of electrical & electronic products
서명 / 저자 전기·전자제품의 환경성 분석 및 재활용 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recycling of electrical & electronic products / 최병철.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681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CE 05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ecently the domestic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y has made rapid progress due to population growth,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elevation of living standards.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y brings about the reduction of product lifetime and it leads to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d amounts of domestic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In fact, waste from major domestic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TV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and personal computers have greatly increased by 47% from 3.8 million units in 1995 to 5.6 million units in 2000 and it is still increasing by 4-5% every year. These types of products have complicated materials and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cycle although they contain valuable parts and pollutants in them, so it causes serious economic and environmental loss because most of the waste is discarded and burnt up after extracting only some valuable material. Such problems of waste products are not confined to Korea. In 2001 the European Union announced the guide of WEEE(Was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which are stronger recycling policies with an enlarged concept of recycling, to promote recycling and reduce virulence of the waste. And, Japan also introduced a new recycling policy on major electric products and personal computers under a new concept in 2001. Subsequently, many countries including China, U.S.A, Hong Kong, Taiwan, Brazil, Mexico and Austria are recently all pushing into effect recycling policies with stronger enforcement ordinances and enlarged concept. Such trends highlight us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waste from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In 2003 Korea also introduced the EPR(Extended Product Responsibility) system to promote the reus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and in 2004 the Guideline on Improvement of Materials and Structure, which had been designed to help products more recyclable, was revised and made more advanced. Thus active countermeasures are being taken even in the Korea. However, because such countermeasures have failed to cover whole process of products and to consider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only limited effects have been obtained from such effort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quantitative environmental profile of a personal computer based on LCA(Life Cycle Assessment) as one of the electronic and electric products and suggest the environmental guarantee system as an enforcement device for such improvement. The environmental guarantee system of products includes the existing guidelines of the Improvement of Materials and Structure and the EPR system, which are the domestic recycling policies, and its main points are the rules of pre-prevention and after-supervision to promote the recycling of the electronic and electrical waste. Besides, the environmental guarantee system of products is not only an institutional method to promote the reuse of waste, but also a promising system which help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products. Because it conforms to the European Union's recycling regulations which became a barrier exporting Korean products and has supportive measures to help Korean industries cope with such international regulations.

전기전자제품 폐기물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나 현재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재활용정책은 그 효과가 미미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형태의 재활용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기 및 전자제품에 대한 환경성보장제 도입을 위해 사전예방규정, 사후관리규정, 운영규정의 3가지를 제도의 기본골격으로 하는 제도안을 아래와 같이 개발하였다. 사전예방규정의 경우는 특정유해물질사용제한 규정, 재질구조 등에 관한 규정, 재활용정보제공에 관한 규정으로 구성하였다. 특정유해물질사용제한 규정에서 특정유해물질은 Pb, Hg, $Cr^{6+}$, Cd과 2종의 브롬계 난연제인 폴리브로미네이티드비페닐(PBB)와 폴리브로미네이티드디페닐에테르(PBDE)로 하였다. 각 유해물질의 허용농도는 유럽연합의 지침을 기준으로 카드뮴은 100ppm, 기타는1000ppm이하의 범위내에서 허용하도록 하였다. 재활용용이성을 고려한 재질구조 개선에 관한 규정은 현재의 재질구조개선지침보다 오히려 좀더 거시적인 형태로 설정함으로써 기업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후관리규정은 제품의 재활용에 관한 의무에 관한 사항으로 이미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통해 시행되고 있으므로 이를 준용하는 것으로 하되 기존의 제도를 보다 효과적인 재활용개선을 위하여 제품의 설계단계까지 제도의 범위를 확장하고 폐전기전자제품의 회수 및 재활용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하며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내에서 전기전자제품은 타 제품과 별도 규정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운영규정은 동제도의 도입 후 대상제품의 범위선정에서부터 규정위반시의 처벌내용 등을 포함한 것으로 우선 대상제품은 재질구조개선대상사업자의 재활용지침과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디셔너 등 10종의 제품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전예방규정 검증방안으로는 생산자의 자기 선언방식이 적합하며, 사후검증으로는 운영기관이 유통중인 제품중 일부 제품을 선정하여 자기선언정보에 대한 서류검토 및 시험분석을 통합 직접검증수행방식을 제안하였다. 사후관리규정에 대한 검증방안으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기·전자제품의 사후관리부분에 관한 생산자 책임재활용제도를 활용하므로 동 제도의 운영방안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아울러, 제품의 기본정보, 제품출시 및 자기선언사실에 대한 정보를 등록토록 하고 제품의 분류는 제품별 재활용특성을 고려한 제품별 분류기준의 개발이 요구된다. 제품의 표기는 제품의 기본정보 및 회수, 재활용책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한 마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며 처벌에 대하여는 벌금 및 과태로 부과, 집중적 사후검증의 적용, 위반사례 정보공개 등이 가능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CE 05003
형태사항 ix, 142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Ⅰ, 전과정목록표(PC 1대기준). - Ⅱ, 특성화, 정규화, 가중화 인자 목록
저자명의 영문표기 : Byung-Chul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신항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Sik Shin
수록잡지명 : "Life cycle assessment of personal computer and its effective recycling rate ". International journal of LCA 2004,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9-9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