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상호관계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of SMEs
서명 / 저자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상호관계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of SMEs / 박학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633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503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9854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503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oday the meaning of technology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the business world. However it is also difficult to obtain competitive technology due to the rapid change of technology. Especially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SMEs. In these changes, technology transfer attracts public attention for SMEs to get new competitive technology and for government policy makers to employ new policy for SMEs. However technology transfer is not activated yet due to the limitation of SMEs and the wrong policy, which does not reflect the specific factors of SMEs. With that background, this, paper aims at the revealing what is the most salient endogenous variable and how exogenous variables affect endogenous variables. It follows the existing studies on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transfer is divided in two steps. First one is the negotiation and contract step and second step is the substantial technology transfer step. The success of technology transfer is affected by successes of these two steps. The successes of these two steps are affected by endogenous variables such as technology transferee's characteristic, project's characteristic and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ee and transfer. And these variables are affected each other. This entire study was accomplished thought survey of SM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oven variable could be used as strategy to make the technology transfer more successful and frame a government policy for SMEs.

오늘날 비즈니스 세계에서 기술의 의미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빠른 기술의 변호속도로 인해서 이것에 대응하기는 더욱 힘들어졌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술획득 방법 중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기술이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기술이전은 그렇게 활성화 되고 있지 못하다. 이것은 국내 중소기업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최근의 관심과 이에 더불어 나오는 정부의 지원제도가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에도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기술이전 성공에 있어서 내부적으로 내생되어 있는 잠재변수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상호영향을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것을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이전 성공요인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전을 협상과 계약 단계와 실제적으로 기술이 이전되는 단계로 구분을 하고 조직특성(기술도입자 특성)과 과업특성(기술이전 프로젝트의 특성) 그리고 도입자와 제공자의 상호관계를 중점으로 상호영향 관계를 파악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소기업 대표자와 기술이전 담당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술이전을 보다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기관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지원제도를 제언하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5034
형태사항 [vi], 86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설문서
저자명의 영문표기 : Hak-Su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덕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uk-Bin Ju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통신경영/정책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