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주요 혁신 역할 및 팀 프로세스가 신제품 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critical innovation roles and team processes on the NPD processes and performances
서명 / 저자 주요 혁신 역할 및 팀 프로세스가 신제품 개발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critical innovation roles and team processes on the NPD processes and performances / 심덕섭.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590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04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9768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0402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novation is not just a technological but a socio-political process of contested change. This multifaceted nature of innovation requires diverse roles that key people play in the innovation process. Many researchers have addressed the existence of certain roles and their impact on the success of innovation projects. Nevertheless, most studies have been descriptive in nature to focus on identifying critical roles in the innovation process, and only a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roles (role structures, champion behavior and team proces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the NPD processes and to provide a working guide for managers to improve their NPD processes. Our focus is on how the firm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new product success, emphasizing the management of projects once the ideas have been proposed. This study proposes research framework of the critical roles (role structures, champion behavior and team process) in the NPD process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ur separated but inter-related studies are undertaken with more specific research models. First case study focused on critical role structures emerged in the NPD process, based on the 21 NPD project in Korea. This study aims to generate a contingent framework and hypothes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role structures in the NPD process. Results of the case study revealed that role structures had a close association with NPD performance. This study also found that as the firm grew larger and diversified, as the project under development was characterized as lengthy, costly, uncertain and risk, role structure was more likely to be differentiated. Three field studies were undertaken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ritical roles (role structure, champion behavior and team process), and project performances. This study sampled 91 NPD projects from 37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s/telecommunication, machinery, and chemical industries.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roject’s leader (n=91) as well as by questionnaire survey to various informants (n=274), who were involved in these projects. First empirical study focused on critical role structures in the NPD process, and offered a contingent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critical role structure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is study found that (1) system complex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ivision of role structure, but project complexit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role structure; (2) division of role struc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all the performance indicators (commercial performance, technical performance and four indicators of process performance such as technical intelligence, market intelligence, resource supply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3) the fit between system complexity and division of role structu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ket intelligence, resource supply, and technical performance, but none of performance indicators but technologic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it between project complexity and the role structure.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offer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the division of role structure is more influenced by system complexity than by project complexity. As the firm grows larger and diversified, qualified experts in specialized technical, managerial, and power fields are more likely to be emerged. Second, the division of role structure in the innovation process is quite helpful to get more market and technical information, moral support and legitimacy of the organization for the project, and thus for acquisition of mor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s a result, the role differentiation leads to higher technical and commercial performances of innovation projects. Third, not just the differentiation of role structure, but the fit between role differentiation and system complex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ical performance, market intelligence, and resource supply. When the organization becomes more complex, more diverse specialized roles are need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projects. Second empirical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champion behavior in the NPD process. Based on data from 79 NPD projects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1) need for achievement and risk-taking propensity of champ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hampion behavior, but technological and market uncertainty, and innovative climate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champion behavior; (2) champion behavior had a positive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indirectly via technical intelligence, market intelligence, resource supply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study advances extant theory by providing som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by which champion behavior affects project performance. Third empirical study deals with the influence of team process on the performance of innovation. Drawing from literature review, five separate team processes, (i.e., relationship, production, information seeking, task coordination and championing) were derived. This study found that (1) while technological uncertain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eeking and relationship process, market uncertainty had a negative effect on championing process. Project size had a positive effect on championing process, and organizational size had a positive effect on task coordination and production process, (2) relationship, production, information seeking, and championing proces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indirectly via market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results offer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external activities need to be added to the conceptualization of team process to describe fully the wide range of what team members actually do. Second, not all teams engaged in all forms of team process but, instead, specialized in some activity due to the project under development and/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verall, this study extends the current knowledge on critical roles (role structure, champion behavior and team processes) in the innovation process by generalizing their importance in innovation projects to a newly industrializing context, Korea, and further sheds light on the contingent relationship of critical roles on project performances in the innovation process.

혁신은 기술적 과정인 동시에 사회정치적 과정이다. 이런 혁신의 속성은 혁신 과정에서 주요 인물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들을 요구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역할의 존재 및 이들이 혁신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혁신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도출하는 데에 초점을 두는 본질적으로 서술적 연구로 소수의 연구들이 주요 역할들(역할구조, 챔피언 행위 및 팀 프로세스)와 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해 왔다. 논문의 목적은 신제품개발 과정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얻고, 경영자들이 자신들의 신제품개발 과정을 개선하도록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는 아이디어들이 제안된 이후에 프로젝트의 관리 측면에서 기업이 어떻게 신제품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가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역할들(역할구조, 챔피언 행위, 팀 프로세스)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한하였다. 4개의 분리되어 있지만 상호 관련된 연구들이 보다 특정한 연구모델을 통해 수행되었다. 첫 번째 사례연구는 국내 21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신제품개발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역할 구조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는 신제품 개발 과정의 역할구조 실증연구를 위한 상황적 이론적 틀과 가설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사례연구 결과는 역할 구조는 신제품 개발 성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는 기업이 성장하고 다각화 할수록, 개발 프로젝트가 장기적이며, 비용이 많이 들고, 불확실하며, 위험할수록, 역할 구조는 보다 분화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개의 실증연구가 주요 역할들 (역할 구조, 챔피언 행위 및 팀 프로세스)과 프로젝트 성과 사이의 가설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전기전자/정보통신, 기계, 화학산업과 같이 다양한 산업 내 37개 기업 91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자료는 이들 프로젝트에 관련되어 있는프로젝트 리더와의 심도 있는 인터뷰와 함께 다양한 정보원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되었다. 첫 번째 실증연구는 신제품 개발 과정의 주요 혁신 구조에 초점을 두고, 관련 문헌 및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혁신 구조의 결정요인과 결과 분석을 위한 상황적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1) 시스템 복잡성은 역할 구조의 분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지만, 문제 복잡성은 역할구조와 관련되어 있지 않으며, (2) 역할구조의 분화는 모든 성과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3) 시스템 복잡성과 역할구조 분화 사이의 적합은 시장 정보/지식, 자원 공급, 기술적 성과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지만, 문제 복잡성과 역할 수조 사이의 적합은 기술 정보/지식을 제외한 성과 변수들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는 이론적 실무적 의미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역할 구조 분화는 프로젝트 복잡성보다는 시스템 복잡성에 보다 많이 영향을 받는다. 기업이 성장하고 다각화 할수록 기술, 관리, 권력 측면에서 전문화된 전문가들이 보다 많이 출현하고 있다. 둘째, 혁신과정에서 역할구조의 분화는 보다 많은 시장 및 기술 정보, 정서적 지원 및 프로젝트에 대한 조직의 정당성, 보다 많은 유무형의 자원을 획득하는 데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역할 분화는 혁신 프로젝트의 기술적, 상업적 성과을 높이고 있다. 셋째, 역할 구조의 분화만이 아니라 시스템 복잡성과 역할 분화 사이의 적합은 기술적 성과, 시장 정보/지식, 자원 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조직이 보다 복잡할수록, 보다 다양한 전문화된 역할이 성공적인 혁신 프로젝트의 수행에 필요하다. 두 번째 실증연구는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챔피언 행위의 선행요건과 결과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내 79개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자료를 통해, 연구는 (1) 챔피언의 성취동기 및 위험감수 성향이 챔피언 행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반면에, 기술 및 시장 불확실성, 혁신적 분위기는 챔피언 행위와 관련이 없으며, (2) 챔피언 행위는 기술 정보/지식, 시장 정보/지식, 자원 공급, 조직 지원을 통해 간접적으로 프로젝트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는 챔피언 행위가 프로젝트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관한 메커니즘에 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이론을 확장하고 있다. 세 번째 실증 연구는 혁신 성과에 대한 팀 프로세스의 영향을 다루고 있다. 문헌고찰을 통해 다섯 유형의 팀 프로세스(즉, 관계, 생산, 정보획득, 업무조정, 자원획득)이 도출되었다. 연구는 기술 불확실성이 정보 획득 및 관계 프로세스에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에, 기술 불확실성은 자원획득 프로세스에 부의 영향을 가지며, 프로젝트 규모는 자원획득 프로세스에 정의 영향을, 조직규모는 업무 조정 및 생산 프로세스와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관계, 생산, 정보획득, 자원획득 프로세스는 시장 정보/지식 및 조직 지원을 통해 간접적으로 프로젝트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제공하는데, 우선, 팀 구성원들이 실제로 행하는 다양한 범주의 활동을 기술하는 데에 외부 활동들이 팀 프로세스의 개념화에 추가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모든 팀들이 동일한 형태의 팀 프로세스에 개입하고 있지는 않으며, 개발 프로젝트 및 조직 특성에 기인해 특정 활동에 전문화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구는 새롭게 지식집약적 경제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국내 환경에서 혁신 프로젝트에 대한 주요 역할들(역할 구조, 챔피언 행위, 팀 프로세스)의 중요성을 일반화하고, 혁신 과정 내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주요 역할들의 상황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혁신 과정에 관한 지식을 확장하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04022
형태사항 ix, 195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uk-Sup Sh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배
지도교수의 영어표기 : Young-Bae Kim
수록잡지명 : R&D management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59-18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