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measurement of knowledge assets using web-based CBR and AHP = 웹 기반의 사례기반 추론과 계층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식자산의 측정
서명 / 저자 (The) measurement of knowledge assets using web-based CBR and AHP = 웹 기반의 사례기반 추론과 계층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지식자산의 측정 / Dong-Wook Ha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559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04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9750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04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Knowledge asset (KA) has prevailed as a measure of core competency and competitive advantage which explains the gap between the market value and book value of an organization at a time of decreasing usefulness of current financial reporting.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KA management, few applicable knowledge asset management (KAM) methodologies have been addressed. There has been no basis model for KA statements, nor bottom-line indicators of the value of KA. The selection of effective KA indicators is a major task of the companies that are preparing KA reports. This paper has proposed a decision mod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information and an examination of information qual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The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akes it possible to extract weights for setting the priority among industry, knowledge management stag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It is demonstra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eria weights and indicator weights classified by the contingency fac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 we developed web-based case-based reasoning system which supports organizational KA reporting decision. The developed KA indicator selection methodology is adapted to a mobil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nd it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supporting KA reporting.

지식자산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진행되어왔다. 첫 번째 관점은 재무 회계적인 지표를 중심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재무회계적인 보고가 제시할 수 없었던 가치들에 대한 연구들이고 다른 관점으로는 지식자산을 나타내는 조직내의 지표들을 실제로 개발하고 공시하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식자산 지표들의 모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모델들의 제시 및 한정적인 적용사례에만 머물러 있어서 실제 기업들이 지식자산보고를 위해서 어떤 지표를 활용하고 중요하게 생각해야 되는 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해 주지 못하고 있다. 그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지식자산 선택에 대한 기준들을 기존의 재무회계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적 모형과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의 질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 대한 분석에서 계층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서 후보 지표군을 선정하여 계층적 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메일 서베이 형식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총 110개 조직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상황적인 요인으로는 각 산업별, 지식경영단계별, 차별화 전략별, 외부 환경요인별로 분석을 하였으며 각 상황적 요인에 따라 지식자산의 선택에 대한 기준들의 가중치와 각 지표들의 가중치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각 기업의 자신의 상황에 맞는 지식자산 지표들을 추천 받을 수 있는 사례 기반 추론 시스템을 웹 상에서 개발 하였다. 이러한 사례 기반 추론 시스템의 모듈로는 k-NN방법을 이용한 유사사례 추론 모듈과 한정된 자원을 중심으로 최적의 지식자산 지표를 선택해주는 목표 계획법을 모델링 했다. 위의 지식자산 지표 선택 방법론을 중심으로 이동통신기업에 적용을 했으며 실제로 지식자산 보고서를 만드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의 학문적인 기여는 실제로 지식자산선택 기준과 지식자산지표들의 가중치가 각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실제 현업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서 지식자산 보고서를 만드는데 활용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04016
형태사항 viii, 159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Appendix : Questionnaire
저자명의 한글표기 : 한동욱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In-Goo H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한인구
수록잡지명 : "Prioritization and selection of intellectual capital measurement indicators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Expert system with applications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 : p. 116-13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