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time slot allocation schem for slotted cdma systems = Slotted CDMA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슬롯 할당 기법에 대한 연구
서명 / 저자 (A) time slot allocation schem for slotted cdma systems = Slotted CDMA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슬롯 할당 기법에 대한 연구 / Journey Ryu.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396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E 03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expected to provide multimedia services with guaranteed their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This paper proposes 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based systems. The concept of dual delay bound is proposed to guarantee maximum tolerable packet loss rate (PLR) requirement for each traffic class. Each packet has two timeout values, i.e., the tolerable delay bound and the intolerable delay bound.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packets is scheduled to their QoS requirements. The scheduler assigns priorities to the packets, and allocates system resources to each packet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ir own priorities. The PLR requirement of each packet is satisfied as much as possible, and degree of its satisfaction is various depending on its traffic class. Indeed, The PLR for the data packets are minimiz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tocol is demonstrated by simul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previously proposed protocol. And, we compute the suitable interval between the tolerable delay bound and the intolerable delay bound for data packets by the experimental method.

미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최대 패킷 손실율 (Packet Loss Rate, PLR)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Dual Delay Bound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각 패킷은 Tolerable Delay Bound와 Intolerable Delay Bound의 두 가지 타임아웃 값을 가지게 되며 가능한 한 Tolerable Delay Bound가 지나기 전에 전송이 된다. 멀티미디어 패킷의 전송은 각각의 QoS 요구조건에 따라 스케줄된다. 패킷 스케줄러는 패킷에 우선순위를 매기고 각 패킷에 시스템 자원을 각각의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하게 된다. 각 패킷의 PLR 요구조건은 최대한 만족되며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만족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데이터 패킷의 PLR은 최소화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을 확인해 보았으며 기존의 프로토콜과 비교해 보았다. 데이터 패킷에 대해 가장 적합한 Tolerable Delay Bound와 Intolerable Delay Bound 사이의 간격을 실험적으로 구해 보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E 03021
형태사항 v, 38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유지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e-Hu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세헌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36-3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