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oly(ethylene glycol) conjugation of G-CSF using cleavable oligo-lactic acid spacer = 생분해성 올리고 락트산이 도입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G-CSF 접합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Poly(ethylene glycol) conjugation of G-CSF using cleavable oligo-lactic acid spacer = 생분해성 올리고 락트산이 도입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G-CSF 접합에 관한 연구 / Seung-Ho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160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S 01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new class of mPEG derivatives having cleavable oligo lactic acid was synthesiz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L-lactide using a terminal hydroxyl end of PEG as an initiator. The synthesized mPEG derivatives had 0.8 and 3.6 lactic acid units based on the MALDI-TOF data. A terminal end group of mPEG-OLA was further activated with p-nitrophenyl chloroformate to produce mPEG-OLA-p-nitrophenyl carbonate (PC). This mPEG-OLA-PC can conjugate to primary amine groups in proteins or drugs. In mPEG-OLA-fluorescein model system, the OLA spacer was cleaved over 40% by 12 h and most fluorescein moieties were detached from mPEG by 84 h. G-CSF was pegylated with this activated mPEG-OLA-PC. Pegylated G-CSF was consisted of native, mono-, di-, and tri-pegylated species. When incubating in pH 4 buffer at 4℃ for 2 weeks, mPEG-OLA-G-CSF liberated mPEG by cleaving OLA spacer, resulting in the reduced fraction of multi-pegylated G-CSF with concomitantly increasing the fraction of native G-CSF. In vitro NFS60 cell proliferation assay revealed that mPEG-OLA-G-CSF retained similar activity to native G-CSF.

생분해성 올리고 락트산을 말단에 가진 새로운 mPEG 유도체가 개환 중합에 의해 합성되었다. 합성된 mPEG 유도체는 MALDI-TOF 분석 결과 0.8과 3.6개의 락트산을 가지고 있었다. mPEG-OLA의 말단 그룹은 p-nitrophenyl chloroformate으로 활성화 되어 mPEG-OLA-p-nitrophenyl carbonate (mPEG-OLA-PC)가 만들어 졌다. 이렇게 생성된 mPEG-OLA-PC는 단백질 또는 화학 약물의 아민 그룹에 접합될 수 있다. mPEG-OLA2-fluorescein 모델 시스템에서, mPEG와 fluorescein의 사이에 있는 올리고 락트산은 12시간 안에 40%가 분해 되었고, 84시간 후에는 대부분이 분해되어 mPEG와 fluorescein을 분리해 놓았다. 이 활성화 된 mPEG-OLA-PC를 이용해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에 mPEG-OLA를 접합 시켰다. mPEG-OLA가 접합된 G-CSF는 mPEG-OLA가 단일, 이중, 그리고 삼중 접합된 G-CSF와 접합되지 않은 G-CSF로 구성되어 있다. 2주 동안 4℃, pH 4의 용액에 두었을 때, mPEG-OLA-G-CSF는 올리고 락트산이 분해되면서 mPEG가 떨어져 나왔고, mPEG-OLA가 다중 접합된 G-CSF의 양이 줄어들면서 G-CSF의 양이 늘어났다. 생체 밖에서 NFS60 세포의 증식을 통해 실험한 결과 mPEG-OLA2-G-CSF는 G-CSF와 비슷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S 01015
형태사항 vii, 45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승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ae-Gwan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태관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35-4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