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ustained release from chitosan microspheres encapsulated multiparticulates = Chitosan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한 다중 입자의 지연 방출 거동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Sustained release from chitosan microspheres encapsulated multiparticulates = Chitosan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한 다중 입자의 지연 방출 거동에 관한 연구 / Tae-Hyun S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113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HE 0001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multiparticulates of chitosan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the spray drying and solvent evaporation methods. Microcore was consisted of chitosan or maltose-g-chitosan, while poly(octadecyl acrylate-co-acrylic acid) was used as matrix. Chitosan-g-maltose was synthesized by reductive amination. Methanol was used to control the grafting yield by adjusting the maltose solubility and the grafted chitosan was confirmed by NMR and FTIR spectroscopy. Poly(octadecyl acrylate-co- acrylic acid) was prepared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using benzoyl peroxide as initiator in toluene. After forming microcores, multiparticulates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and by spray drying method of dispersion of microcores. The morphology and size of microcores depended on the preparation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maltose graft. The size of microcore was small (4-10). The morphology and particle size of multiparticulates also depended on nature of microcore, matrix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 release from microcores and multiparticulates was investigated. Chitosan microspheres released the calcein very quickly at pH 2.0 and in 10hr at pH 7.0. Release was controlled by maltose graft and by crosslinking. Chitosan-g-maltose microspheres release the drug much faster at pH7.0. Crosslinked microspheres showed slower release. Release from the multiparticulates depend on the property of microcores and matrix composition. Chitosan-g-maltose microspheres encapsulated multiparticulates showed faster release at pH 7.0 and 12.0.

Chitosan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한 다중입자를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입자는 chitosan 또는 chitosan-g-maltose를 이용하였으며, 매트릭스는 poly(octadecyl acrylate-co-acrylic acid)를 사용하였다. Chitosan-g-maltose는 reductive amin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메탄올을 이용하여 maltose의 용해도를 조절함으로써 graft 정도를 조절하였다. Graft 정도는 NMR과 FT-IR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poly(octadecyl acrylate-co-acrylic acid)는 benzoylperoxide를 개시제로 하여 자유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하였다. 마이크로 입자는 용매 증발법을 통하여 제조하였고, 다중입자는 용매 증발법과 분무 건조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마이크로 입자의 형상과 크기는 제조 조건과 maltose graft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maltose graft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shrinkag가 증가하였다. 입자의 크기는 대략 4-10㎛ 으로 나타났다. 다중 입자의 형상과 크기 역시 마이크로 입자의 종류와 매트릭스에 의존하였다. 매트랙스의 acrylate 조성이 늘어날수록, chitosan에 maltose가 많이 붙을수록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였다. 마이크로 입자와 다중 입자로부터의 방출 거동을 관찰하였다. chitosan 마이크로 입자는 pH 2.0에서 상당히 빨리 방출이 일어났으며, pH 7.0에서도 10시간 이내에 거의 모든 방출이 일어났다. chitosan-g-maltose 마이크로 입자는 pH 7.0에서 chitosan 마이크로 입자에 비해 훨씬 더 빠른 방출 거동을 보였다. 마이크로 입자의 가교 또한 지연방출을 유도하였다. 다중입자의 경우 pH, 마이크로 입자, 매트릭스에 따라 방출 거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chitosan-g-maltose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한 다중입자는 pH 7.0에서 지속적인 방출 거동을 나타내었다. 매트릭스의 acrylic acid는 chitosan의 amine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acrylic acid가 증가할수록 방출이 느려짐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HE 00019
형태사항 viii, 68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성태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ong-Du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종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65-6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