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감성이미지 DB 구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 시, 청각 자극을 통한 감성이미지 평가 실험을 중심으로 = Assessment tool development for emotion image DB construction : with emphasis on the visual and auditory emotion image assessment
서명 / 저자 감성이미지 DB 구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 시, 청각 자극을 통한 감성이미지 평가 실험을 중심으로 = Assessment tool development for emotion image DB construction : with emphasis on the visual and auditory emotion image assessment / 이은창.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0].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102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00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6893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D 00001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visual and auditory emotion imag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enabling designers to catch the same emotion image with those of consumers in the early design process. The subsidiary purpose of the tool is based on how to find out the consumer''s emotional needs and how to design the product as the needs exactly. The purpose could be like the ultimate one of design and for the purpose many studies concerning human emotion are in advanced. Especially assessment skills of emotion of studies regarding emotion are well applied to practice fields of design. But most of studies in progress with did not reflect the original attributes of design, practically designers could not use the result of studies. Quantified methods of the existing assessment methods are not familiar with designers and implication of the quantified method is restricted in being reflected in design directly. Most of the methods leave out of consideration for designers. The method to cope with the problem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Experiments and programs were progressed mainly. In the pilot experiment the virtual machine, Winamp software, was used for inducing emotion images as stimuli. For the final experiment comparison of visual and auditory emotion images carried out with finding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images in transforming the original emotion image. The steps of preference test and MDS analysis were executed, then stimuli were selected by association for inducing the verbal, visual, and auditory category emotion images. Also factor analysis was followed for structuring each stimulus and its images. First of all hypothesis that when the visual and auditory emotion images were presented how would be the effectiveness and correctness of transforming the meaning was established, then 4 types of virtual machines and their emotion images were presented to subjects as the 2 kinds of forms. And comparison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two stimuli by correctness rate was followed. As the following step emotion assess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cess and data verified in the experiment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mainly three modules. One is that organize the questionnaires. Another is that answer the questions given by designers. The other one is that input results of the questions and statistically arranged data for emotion image database.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firstly visual and auditory complex emotion images could reinforce the concreteness of verbal emotion images.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program would have three advantages that designers could economize in their working time and expenditure. And they could make the most of the results with visual and auditory emotion images as the central figure directly to design work. Furthermore designers could cope with the manifold and broad needs of consumers directly and rapidly.'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감성이미지를 디자인에 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시, 청각 정보 중심으로 소비자의 감성이미지를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감성이미지 평가 및 DB 구축 도구를 개발함에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감성이미지가 소비자의 니즈나 혹은 감성과 어떤 관련을 가지며 감성이미지에 대한 직접적 이해를 감성정보 처리 모형을 통해서 시도하였다. 이후 이러한 감성이미지가 디자인에 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소비자를 사용자 측면에서 이해한 후 제품 개발에 활용되는 소비자의 감성이미지와 디자인과의 관계를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여 감성정보를 일종의 매체(Media)로 가정, 디자인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출발점으로 사용자의 감성이 어떠한 매체로 표현될 수 있으며 디자이너에게 어떠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매체의 종류와 각 매체가 지닌 특성을 기존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도구의 개발에 앞서 실험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예비실험과 본 실험으로 분리하여 진행되었으며 예비실험의 경우 실험의 목적을 특정한 제품을 대상으로 감성이미지를 형용사 형태의 언어적 이미지와 이에 부합하는 시각적 이미지, 청각적 이미지의 구조화에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자극으로 가상 전자제품인 윈 앰프 스킨(Winamp Skin)을 선정하여 선호도 조사를 통해 평가 후 다차원 척도 분석법을 통해 최종 자극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자극을 토대로 연상 이미지를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각각 언어적 이미지, 시각 이미지, 청각 이미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특히 시각 이미지의 경우 제품, 의상관련 이미지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청각 이미지의 경우 음악을 중심으로 한 이미지로 국한하여 진행하였다. 이후 각 자극별로 요인분석을 진행하여 자극별로 유의도가 높은 연상이미지를 요인별로 분류하여 구조화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도출된 감성형용사중 청각 이미지가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앞서 청각 이미지가 시각 이미지와 함께 활용되었을 때 기존에 사용되는 언어적 이미지와 시각 이미지의 복합 활용시에 비해서 언어적 표현의 감성이미지를 보다 구체적이고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가설로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우선 실험에 사용되는 자극의 구성을 위하여 위의 예비실험을 통해 구조화된 스킨 4종류의 연상 이미지와 부속된 감성이미지를 언어와 시각 형태의 조합과 시, 청각 형태 조합의 자극을 설문 대상자에게 제시하여 두 자극간의 연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형태로 두 매체의 감성이미지 전달 효율을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이후 진행될 프로그램의 구조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감성평가 프로그램 구현의 경우 실험에서 검증된 프로세스를 네트웍 환경을 기반으로 프로그램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감성평가 도구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어 분리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우선 관리자와 소비자가 각각 사용하는 영역을 달리하여 디자이너의 경우 관리자로서 평가 제품 이미지를 선정하거나 설문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모듈과 다시 이를 소비자가 설문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하였고 설문을 통해 도출된 각 제품에 대한 감성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통계적 처리를 통한 DB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모듈의 영역으로서 통계적 처리를 거친 데이터를 토대로 입력하여 DB화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외에 실험과 이를 통해 검증된 프로세스를 프로그램화하여 감성평가를 통한 감성이미지 DB 구축 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00001
형태사항 13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요인별 치환 이미지
저자명의 영문표기 : Eun-Cha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oung-Suk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31-13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