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hotodissociation of alkyl halides with two chromophores near 234nm = 두 발색단을 가지는 알킬 할라이드 분자의 234nm에서의 광분해 반응
서명 / 저자 Photodissociation of alkyl halides with two chromophores near 234nm = 두 발색단을 가지는 알킬 할라이드 분자의 234nm에서의 광분해 반응 / Sung-Hae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001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H 99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Bond cleavages of alkyl halides with two chromophores progress competitively and produce a number of fragments via various paths. We select $CF_2ClBr$ and $CH_2ClBr$ to see the effect of two absorption parts. In the photodissociations of $CF_2ClBr$ and $CH_2ClBr$ near 234nm, the branching ratios are obtained using REMPI-TOF-MS and velocity distributions are measured using REMPI-imaging technique. The relative quantum yields of $CF_2ClBr$ are Φ(Br)=0.53, $\phi(Br^*)=0.22$, Φ(Cl)=0.17, and $\phi(Cl^*)=0.08$ respectively, and the branching ratio of C-Br to C-Cl is about 3. The $CF_2Cl+Br$ channel reveals a direct mode of dissociation and the $CF_2Br+Cl$ channel does an indirect mode. The relative quantum yields of $CH_2ClBr$ are Φ(Br)=0.56, $\phi(Br^*)=0.26$, Φ(Cl)=0.12, and $\phi(Cl^*)=0.07$, respectively, and the branching ratio of C-Br to C-Cl is about 4.6. The dissociation of $CH_2ClBr$ shows similar to that of $CF_2ClBr$. The $CH_2Cl+Br$ channel is a direct dissociation, whereas $CH_2Br+Cl$ is an indirect dissociation. The fission of the weakest bond C-Br is the dominant process for both molecules. Ground state halogen atoms are about 2 times more generated than spin-orbit excited state atoms. On the contrary, the branching ratio is somewhat different. The secondary reaction of $CF_2Cl$ and $CH_2Br$ radicals made an effect on the ratio.

두 종류의 흡수 본드(bond)를 가지는 알킬 할라이드 분자는 각 본드의 붕괴가 경쟁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생성물을 생성한다. 이 실험에서는 234nm에서 $CF_2ClBr$, $CH_2ClBr$의 광분해 반응을 REMPI-TOF-MS 방법을 통해 branching ratio를 구하였고, REMPI-image법을 이용하여 속도 분포를 관측하였다. $CF_2ClBr$의 relative quantum yield는 Φ(Br)=0.53, $\phi(Br^*)=0.22$, Φ(Cl)=0.17, $\phi(Cl^*)=0.08$를 얻었고, C-Br과 C-Cl의 branching ratio는 약 3을 얻었다. $CF_2Cl+Br$ 반응은 dissociative excited state의 lifetime이 짧은 direct dissociation이고, $CF_2Br+Cl$ 반응은 indirect dissociation이다. $CH_2ClBr$의 relative quantum yield는 Φ(Br)=0.56, $\phi(Br^*)=0.26$, Φ(Cl)=0.12, $\phi(Cl^*)=0.07$를 얻었고, C-Br과 C-Cl의 branching ratio는 약 4.6을 얻었다. $CH_2ClBr$의 광분해는 $CF_2ClBr$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CH_2Cl+Br$ 반응은 direct dissociation이고, $CH_2Br+Cl$ 반응은 indirect dissociation이다. 두 분자 모두 C-Br 결합이 끊어지는 반응이 주로 일어났다. 그리고, 두 분자에서 생성되는 할로겐 원자는 바닥상태가 spin-orbit 여기 상태보다 2배 정도 많이 생성되었다. 두 분자의 branching ratio의 차이는 광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라디칼(radical)의 이차적인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H 99021
형태사항 vi, 31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성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ng-Hoon J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경훈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Includes reference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