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새로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들의 합성과 광전도성에 관한 연구 = Preparation and photoconducting properties of new polyacetylene derivatives
서명 / 저자 새로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들의 합성과 광전도성에 관한 연구 = Preparation and photoconducting properties of new polyacetylene derivatives / 서상철.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1000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H 99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3,5-Dinitrobenzoates of poly[1-(4-methoxyphenyl)penta-1,3-diyn-5-ol] (DN-1,4-PMDO) and poly[1-(4-N,N-dimethylaminophenyl)penta-1,3-diyn-5-ol] (DN-1,4-PDDO) were prepared by $TaCl_5$/$(n-Bu)_4$Sn, catalyzed metathesis polymerization of 1-(4-methoxyphenyl)penta-1,3-diyn-5-ol (MDO) and 1-(4-N,N-dimethylaminophenyl)penta-1,3-diyn-5-ol (DDO) followed by reaction with 3,5-dinitrobenzoate. Poly[4-(4-N,N-diphenylaminophenyl)-1-phenyl-1-buten-3-yne] (PPAPBEY) was prepared by $TaCl_5$/$(n-Bu)_4$Sn catalyzed metathesis polymerization of 4-(4-N,N-diphenylaminophenyl)-1-phenyl-1-buten-3-yne. (PAPBEY). Polymerization of poly[1-phenyl-1-penten-3-yn-5-ol] (PPPYO) was carried out by the same method except $NbCl_5$/$(n-Bu)_4$Sn catalyst system. PPPYO was reacted with 3,5-dinitrobenzoyl chloride to give 3,5-dinitrobenzoate of poly[1-phenyl-1-penten-3-yn-5-ol] (DN-PPPYO). The photodischarge properties of DN-1,4-PMDO and DN-1,4-PDDO based organic photoconductiv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PA. DN-1,4-PDDO having powerful electron donating moiety (N,N-dimethylphenyl-) showed higher photoconductivity (PC) than DN-1,4-PMDO having methoxyphenyl moiety as electron donor indicating that DN-1,4-PDDO forms a charge transfer (CT) complex much effectively than DN-1,4-PDDO. Triphenylamine (TPA) mixed polymers showed higher photoconductivity indicating that polymers themselves have many trapping sites. Introduction of 3,5-dinitrobenzoate moieties into PDDO enhanced the PC signal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peak near 600 nm. The enhancement of PC signals is due to the two kinds of strong interactions: i) interaction between highly electron-accepting substituents and polymer backbone (~ 400 nm), ii) interaction between strong electron acceptor and highly electron-donating moieties (~ 600 nm). To increase the viscosity and initial potential, DN-PPPYO were blended with polystyrene and the photoconducivity of DN-PPPYO could be enhanced by introducing triphenylamine. PPAPBEY blended film of DN-PPPYO showed higher photoconductivity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TPA moiety and fully conjugated backbone.

폴리[1-(4-메톡시페닐)펜타-1,3-디인-5-올], 폴리[1-(4-N,N-디메틸아미노페닐)펜 타-1,3-디인-5-올]과 폴리[1-페닐-1-펜텐-3-인-5-올]의 3,5-디니트로벤조에이트 (DN-1,4-PMDO, DN-1,4-PDDO,와 DN-PPPYO)는 1-(4-메톡시페닐)펜타-1,3-디인-5-올 (MDO), 1-(4-N,N-디메틸아미노페닐)펜타-1,3-디인-5-올 (DDO)과 1-페닐-1-펜텐-3-인-5-올 (PPYO)의 $TaCl_5$- 또는 $NbCl_5$- 메타세시스 중합 고분자에 3,5-디니트로벤조일 클로리드를 반응시킴으로 얻어졌다. 폴리[4-(4-N,N-디페닐아미노페닐)-1-페닐-1-부텐-3-인] (PPAPBEY)은 4-(4-N,N-디페닐아미노페닐)-1-페닐-1-부텐-3-인] (PAPBEY)의 $TaCl_5$-를 바탕으로한 메타세시스 중합에 의해 합성되었다. DN-1,4-PMDO와 DN-1,4-PDDO의 광조사시 표면전위감소는 트리페닐아민(TPA)을 전하이동물질(CTM)로하여 비교연구하였다. 더 강력한 전자주게기인 N,N-디메틸페닐기를 가진 DN-1,4-PDDO는 메톡시페닐기를 가진 DN-1,4-PMDO 보다 더 큰 광전위감소를 보여주었으며 이것은 DN-1,4-PDDO가 전하이동착체를 더 잘 형성함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TPA를 도핑시에 더 큰 광전위감소가 있음도 확인이 되었다. 폴리[1-(4-N,N-디메틸아미노페닐)펜타-1,3-디인-5-올] (PDDO)에 3,5-디니트로벤조일기를 화학결합을 통해 도입하면 광전류 (PC)가 더 증가하였고 특히, 600 nm 근처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광전류 증가현상은 전자끌게물질, 즉, 3,5-디니트로벤조일기와 강력한 전자주게기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TPA 를 도핑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빛의 세기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점성도와 초기전위를 높이기 위해 폴리스티렌을 블렌딩한 DN-PPPYO는 전하이동물질(CTM)로 TPA를 도핑했을 때 광전도성이 증가하였는데 PPAPBEY를 블렌딩했을 때 훨씬 더 광전도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이것은 PPAPBEY를 CTM으로 이용할 경우 훨씬 더 많은 양의 TPA 기를 균질하게 DN-PPPYO 메질에 도입할 수 있음과 PPAPBEY의 완전히 컨쥬게이트된 주사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H 99015
형태사항 v, 59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ang-Chul Su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심상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ang-Chul Sh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5-5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