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DNA cloning of guamerin and nucleotide sequence = 거머린의 cDNA 클로닝과 염기서열
서명 / 저자 cDNA cloning of guamerin and nucleotide sequence = 거머린의 cDNA 클로닝과 염기서열 / Kyoung-Han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850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S 98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from the Korean native leeches, Hirudo nipponia using the PCR-directed method. A full-length cDNA encoding guamerin was isolated from the cDNA library and nucleotide sequence was analyzed. The cDNA contained an open reading frame of 228 bp which encoded a 75 amino acid protein. The guamerin precursor consisted of additional 5 amino acid residues at N-terminal region and 13 amino acid residues at C-terminal region. The mature guamerin consisted of 57 amino acid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revealed a different amino acid residue from that of guamerin. This cDNA has 71 % local identity to cDNA of antistasin, factor Xa inhibitor derived leech, Haementaria officialis at the DNA level.

한국산 거머리 Hirudo nipponia로부터 RNA를 추출하여, homotailing과 PCR 기법을 사용하여 cDNA library를 건설하였다. 건설된 cDNA library로부터 거머린의 full-length cDNA를 screening하였다. 거머린은 단백질 분해 효소인 elastase에 특이적인 억제제로 분자량은 매우 적으며, 아미노산 중에서 특히 시스테인 잔기가 10개나 존재하는 것으로 한국산 흡혈 거머리인 Hirudo nipponia에서 분리되었다. 이미 거머린의 structural cDNA는 degenerated PCR 기법을 이용해 170 염기의 유전자가 분리되었으며, 이를 probe로 이용하여 거머린의 full-length cDNA를 찾았다. 거머린의 cDNA 서열은 이미 알려진 항혈전 단백질인 antistasin과 71 %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거머린의 open reading frame은 모두 75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228 bp 로 이루어져 있으며, 거머린의 structural cDNA이외에 N-terminal에 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signal peptide와 C-terminal에 14개의 아미노산이 덧붙여져 있다. cDNA library에서 분리해 낸 거머린의 full-length cDNA이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은 이미 발표된 거머린의 아미노산 서열과 1개의 위치에서 아미노산 서열이 달랐다. cDNA library에서 찾은 모든 clone이 모두 이와 같은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것은 PCR로 인한 착오가 아니라, 거머린의 iso-form이 존재하며, 거머리 내에 거머린보다도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하리라 생각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S 98028
형태사항 iv, 30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경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e-Won K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강계원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28-3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