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티올레이트 다리를 가지는 이핵 몰리브다 카보레인 화합물의 산화 반응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oxidation reactions of tetrathiolato-bridged dinuclear molybdacarborane
서명 / 저자 티올레이트 다리를 가지는 이핵 몰리브다 카보레인 화합물의 산화 반응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oxidation reactions of tetrathiolato-bridged dinuclear molybdacarborane / 황정욱.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855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H 9803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leavage and merging of the carborane cage C-C bond in tetrathiolato-briged dinuclear molybdacarborane complexes $[(C_2 B_9 H_{11})_2 Mo^{Ⅳ-Ⅳ}_2 (SPh)_4]$ㆍ$(PPN)_2 (1 \cdot (PPN)_2)$ (PPN=bis(triphenyl-phosphoranylidene)ammonium chloride) and $[(C_2B_9H_{11})_2 Mo^{Ⅲ-Ⅳ}_2(SPh)_4]$ㆍPPN(2ㆍPPN), a series of the oxidation reactions of $1 \cdot (PPN)_2$ and 2 \codt PPN using various oxidants like CuCl, $Br_2$, $FeCl_3$ were studied. Two products A and B were isolated and studied electrochemically and spectroscopically. They were studied with cyclic voltammogram by varying the quiet time to determine the position they belong in the cyclic voltamogram, and B was characterized to be the further oxidized species of 2ㆍPPN. The product from the reaction of $1 \cdot (PPN)_2$ with $FeCl_3$ and A showed different oxidation system comparing to the oxidation system of $1 \cdot (PPN)_2$, 2ㆍPPN and B, suggesting structural rearrangement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네개의 티올레이트 다리 리간드를 갖는 이핵 몰리브다 카보레인 착물인 $[(C_2B_9 H_{11})_2Mo^{Ⅳ-Ⅳ}_2(SPh)_4] \cdot (PPN)_2$ $(1 \cdot (PPN)_2)$ (PPN=bis(triphenyl-phosphoranylidene)ammonium chloride)과 $[(C_2B_9H_{11})_2 Mo^{Ⅲ-Ⅳ}_2(SPh)_4] \cdot PPN(2 \cdot PPN)$에서 일어나는 카보레인 뭉치 탄소-탄소 결합이 붙었다가 떨어지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CuCl, $Br_2$, $FeCl_3$과 같은 다양한 산화제를 이용해 $1 \cdot (PPN)_2$과 2ㆍPPN을 산화시키는 반응들이 연구되었다. 그 결과 A와 B의 두 가지 결과물을 얻고 분리해 낼 수 있었다. 이 두 착물은 전기화학적으로, 그리고 분광학적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시클로 볼타메트리에서 시작 전위에 머무는 시간을 바꾸어가며 그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 시클로 볼타모그램상의 어느쪽에 존재하는 화학종인지를 결정할 수 있었다. B는 2ㆍPPN의 더 산화된 화학종으로 판명되었고 A는 $1 \cdot (PPN)_2$, 2ㆍPPN, B와는 다른 산화 시스템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산화과정에서 구조적 변화가 생긴 화학종으로 판명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H 98032
형태사항 iii, 33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eong-Wook Hw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도영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Kyu Do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참고도서 : p. 30-3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