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Playout mechanism for voice packets in wide-area networks = 광역 네트웍에서의 음성 패킷 재생을 위한 알고리즘
서명 / 저자 Playout mechanism for voice packets in wide-area networks = 광역 네트웍에서의 음성 패킷 재생을 위한 알고리즘 / Kyung-Sup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880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EE 98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uring the past several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of packetized voice over wide-area packet-switched networks. In such applications, a principal challenge in supporting interactive voice is the need to provide synchronous playout of voice packets in the face of stochastic end-to-end network delays. The voice synchronization was an active research area in the late 70's and early 80's. The early proposed synchronization methods assumed that both the propagation dela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variable component of network delay are known. So, a fixed playout delay can be computed such that no more than a given fraction of arriving packets are lost due to late arrival. Bu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nd-to-end delay distribution of packets. Also, the distribution can change over relatively short time scales. In this paper, a method to adjust adaptively the playout delay of voice packets is supposed. The playout delay is calculated from the estimate of packet network delays and changed from one talkspurt to the next. Within a talkspurt, packets are played out in a periodic manner, thus reproducing their periodic generation at the source. A packet having the network delay larger than it's playout delay is dropped. The proposed algorithm to choose the playout delay in the face of varying network delay can achieve a lower rate of lost packets. The evaluation for the algorithm consist of simulation by experimentally generated traffic. The generated traffic has characteristics of reported wide-area internet traffic.

과거 수십년 동안 광역 패킷 네트웍에서 패킷화된 음성을 사용하는 경우가 급격히 증가해왔다. 그러한 응용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는 끝 단간의 가변적인 네트웍 지연에 맞서서 음성 패킷의 동기화 된 재생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음성 동기화 문제는 70년대 말과 80년대 초에 활발한 연구 분야였다. 이때 제안된 알고리즘들은 모두 양 끝단간의 지연 분포를 우리가 알 수 있고, 그러한 지연 분포가 변화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리하여 만족할만한 손실을 가지게끔 최대 지연 한계를 정하였다. 이때의 문제는 도착한 패킷의 발생 시점이 언제인지를 추정하여 최대 지연 한계까지 얼마만큼 버퍼링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끝단간의 지연 분포를 안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고 이러한 지연 분포는 짧은 시간동안에 변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최대 지연 분포를 정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동적인 네트웍 지연 변화에 적응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발생해서 재생될까지 걸리는 재생 지연은 패킷이 실제 겪은 네트웍 지연 평균과 편차의 추정값에 의해 산출되었다. 이러한 재생 지연 값은 동기 단위로 새롭게 갱신된다. 또한 동기 단위 내에서 네트웍 지연이 크게 증가할 경우도 새롭게 산출되어 큰 네트웍 지연을 가지고 도착하는 패킷들도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동기 단위 내에서는 패킷들이 발생한 간격대로 다시 재생된다. 물론 산출된 재생 지연보다 큰 네트웍 지연을 가지는 패킷들은 버려져 손실처리 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제안된 적응 재생 알고리즘 보다 네트웍 지연의 변화에 대해 더욱 적응성을 가져 낮은 패킷 손실률을 가지고 네트웍 지연 보다 그리 크지 않아 버퍼 소스의 절약과 작은 버퍼링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평가는 실험적으로 발생된 트래픽에 의한 시뮬레이션으로 이루어졌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EE 98016
형태사항 vi, 51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경섭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ung-Cheol Shi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신병철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48-5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