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a general framework for managing manufacturing felxibility = 생산시스템의 유연성관리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a general framework for managing manufacturing felxibility = 생산시스템의 유연성관리에 관한 연구 / Byeong-Dong L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816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E 97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458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IE 97007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objective of the thesis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practical management framework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from the manufacturing system managers' viewpoint. The framework links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changes with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In the first part of the framework, three asp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type, range, and time, are analyzed respectively. At first, type is used to giv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Type of environmental changes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type of flexibility. Each type of flexibility is defined and classified into some categories. Secondly, combined with a decision hierarchical and system hierarchical perspective, time aspect is incorporated into the analysis. It i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to manage the environmental changes under consideration. The next step of the analysis is to check the range aspect of environmental changes. For that purpose, two new concepts, coverage and partial range, are introduced. After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s, two important actions are followed. One is to provide clear operating policy to cope with the changes. In other words, the ways to adapt the manufacturing system to the environmental change considered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do this, the new concept, flexibility cost, is proposed. It means a cost for adapting to the given environmental changes in a time period. It also implies an incremental cost for system changes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Uniformity cost, mobility cost and opportunity cost of lost production constitute flexibility cost. On the practical basis, it help provide an economic procedure to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The other action is to seek for the way of improving manufacturing flexibility. Since environment changes continuously, every manufacturing system is required to be flexible to some extent in a certain situa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 system's flexibility appropriate for their situation. Decomposition of flexibility cost may give some direction of improvement. Finally,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managing manufacturing flexibility integrates the results presented in the previous parts. The framework includes from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s to the implementation and enhancement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운영자 입장에서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와 분석의 틀을 제공하고, 그러한 환경변화에 대한 분석에 기초해서 실제로 어떻게 고려중인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그러한 대응에 결과에 기초해서 어떻게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관한 포괄적이고 일관된 관리체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의 많은 연구들이 생산유연성의 전략적 측면에 치우치거나 또는 운영측면(operation)에 치우쳐 있었기때문에,전략적인(의사결정단계의 상위단계의) 이해와 분석을 실제 운영과 연결시키는 것이 힘들었다. 이는 관리자의 현장에 대한 이해부족과 공장운영자와 작업자의 전략적 분석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두 부분의 연결에 노력을 집중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의 능력으로서 유연성을 정의하였는데, 여기서는 생산시스템에 의한 생산부문(manufacturing function)의 유연성만을 대상으로 한정한다. 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방법은 마케팅이나 R&D등 다양한 기능에 의해 가능하지만, 생산부문에 의한 대응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또한 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에서부터 실제 운영과 개선까지 이어지는 포괄적 과정을 공장 운영자(system managers or plant managers)수준의 시각에서 다루도록 노력하였다. 환경변화에 대한 전략적인 이해나 분석도 그동안 일관성과 체계성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변화를 규정하는 3가지측면을 활용하여 환경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환경변화의 유형에 따라 생산유연성을 나누어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변화의 크기와 시간적 측면을 고려하여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관리수준을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변화의 크기를 현실감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partial range와 coverage등 몇 가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고,이를 기반으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제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때 운영수준 결정의 기준으로서 유연성비용(flexibility cost)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대응과정은 개별 유연성 종류별로 이루어진다. 유연성비용은 경제적인 기준에 따라 운영수준을 결정하도록 도와주며, 분해(decomposition)과정을 통해 생산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개념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합하여 생산시스템의 유연성을 관리하는 전체적인 체계가 마지막으로 제시된다. 이 체계를 활용하면 유연성의 이해에서부터 활용 및 개선의 과정을 일관된 방법들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E 97007
형태사항 [vii], 102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임병동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Soo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지수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95-10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