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maintenance support expert system for legacy systems : UNIK-METASOFT = Legacy system을 위한 유지보수지원 전문가시스템 : UNIK-METASOFT
서명 / 저자 (A) maintenance support expert system for legacy systems : UNIK-METASOFT = Legacy system을 위한 유지보수지원 전문가시스템 : UNIK-METASOFT / Byoung-Yup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800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SM 97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315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DGSM 97005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ost legacy systems are currently doing important organization jobs in many industries and societies. At the same time, these legacy systems are easily confronted with maintenance crisis, as predicted.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done in the hopes of solving this problem, because of poor system documents and lack of man power,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resolve maintenance problem found in real world legacy systems. So, this dissertation proposes an object oriented methodology that can overcome such circumstances in legacy systems, and we have developed a tool, UNIK-METASOFT to systematically support our methodology. Our methodology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System Information Construction Phase, which implies both understanding the system, and Restoration and Maintenance Support Phase. System Information Construction Phase can be divided into two substages: understanding and restoration. We also devided Maintenance Support Phase into two substages, Maintenance Requirement Query and Evolution Phase. The first step of applying our methodology to a legacy systems is the System Information Construction Phase. This phase generates a system information base and now, based on the initial acquired information, our methodology can enter into the second phase: Maintenance Requirement Query Phase. The first encountered subphase of the maintenance support phase is the Maintenance Support Phase. This phrase requires input from the maintenance requirement system, and imformation from the current system. It will then return to the resulting region to be maintained. After maintenance work, the last phase, Evolution Phase is invoked to support reporting. In addition it will adapt the system information to be consistent with the new state of the system. Moreover,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UNIK-METASOFT are applied to the real world problem of a legacy system from a leading company in Korea. It appears to be very successful. The application empirically shows that our approach can be applicable, not only to other systems in the company, but also to various kinds of legacy system problems from broad domains.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 중에서 가장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단계이다. 특히 Legacy System을 유지보수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Legacy system이란 개발된지가 20년 혹은 그 이상되었고, 현재 까지도 그 조직내에 중요한 부문을 담당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현재 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보수 업무가 이루어져 왔는데, 이에 따른 유지보수 문서화가 제대로 되어져 있지 않아서, 어떤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더욱 유지보수 업무를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Legacy System을 위한 유지보수지원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우선 문서가 제대로 존재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보수 대상을 찾을 수 있는 형태의 지식 형태로 변환해서 저장해야만 한다. 이 작업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므로 역공학을 이용한 자동 지식 생성 도구가 필요하다. 이렇게 추론 가능한 형태의 지식으로 표현이 되었으면, 프로그램의 변수와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지식을 키워드와 연결시켜서 잃어버린 설계 단계의 지식을 복구한다. 이상의 단계를 거치면 첫번째 단계로써 정보시스템 지식베이스 구축 및 키워드 지식베이스 구축이 끝난다. 유지보수 요구사항을 받아들여 위의 단계에서 구축된 지식베이스를 이용하여 유지보수 대상을 찾아주는 추론 엔진을 설계하였다. 여기서 요구사항간의 합 추론(Union Inference), 단위 요구사항간의 교차 추론(Intersection Inference), SEQ연산자에 따른 검색 방향 조정, 유지보수 유형 및 주제에 따른 유지보수 대상 조정, 논리적 추론, 키워드 동의어 처리, 함수 호출시의 처리 등이 추론할 때 고려되어져야 할 사항이다. 이렇게 검색된 유지보수 대상을 실제 유지보수를 한 뒤에, 변경된 소스 등을 반영하여, 지식베이스가 일관성있는 지식을 가질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UNIK-METASOFT로 구현하였고, 한국전력의 사례에 대해서 응용하여 보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SM 97005
형태사항 viii, 110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병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Kyu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재규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 : p. 105-11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