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Bureaucratic success in the joseon dynasty: a computational study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 조선시대 관료의 성공: 세대간 사회이동성 패턴의 계산적 연구
서명 / 저자 Bureaucratic success in the joseon dynasty: a computational study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 조선시대 관료의 성공: 세대간 사회이동성 패턴의 계산적 연구 / Donghyeok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248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GCT 24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igital history, utilizing techniques such as data archiving, retrieval, and statistical analysis, aims to offer new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social systems of the pre-modern socieities. This field often requires the collection of extensive and detailed historical data, which can be a formidable challenge, especially given the limitations in conducting social experiments or reconstructions within pre-modern social framework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fficial positions and ranks of bureaucrats in the Joseon Dynasty (1392-1894), who progressed through Gwageo.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on two primary sources: the Mungwa Bangmok (문과방목; 文科榜目), a historical record detailing the profiles of the Yangban (양반; 兩班),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which provide accounts of the social and political actions of these bureaucrats. Although both sources are rich in historical information, integrating them into a single comprehensive dataset has been a complex task, particularly due to the difficulties in accurately identifying individuals. This research represents an initial effort to create a connected dataset between these two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which could be seen as a step forward in the field of digital history. Through this study, the Total Success Index (TSI) was developed as a tool to potentially shed some light on the inner workings of the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This index is intended to introduce new methods and uncover facts that might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t suggests the potential role that digital history could play in exploring the complexities of historical social systems.

디지털 역사학은 데이터 아카이빙, 검색 및 통계 분석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전근대 시기 복잡한 사회 시스템이 어떻게 기능하고 변모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과 관점을 제공한다. 디지털 역사학 연구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풍부하고 상세한 역사 데이터가 요구되나, 전근대 사회 시스템은 사회 실험 및 재현이 불가능하기에 요건에 맞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연구의 관건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1392년에서 1894년 사이 과거제를 거쳐 관료제 사회로 진출한 조선시대 양반(兩班) 관료들의 관직 및 관품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역사학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한다. 양반 사회의 핵심인 문반 관료의 출신 성분이 담겨 있는 문과방목(文科榜目)과 정치사회적 언행을 기록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데이터이지만, 인명 구별의 어려움 등으로 둘을 연결한 종합적인 데이터는 처음 구축되었기 때문에 디지털 역사학적인 시도가 가능해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패턴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정치사회 내부에서의 사회-정치적 성공 지표(Total Success Index)를 설정하며, 이 지표를 도구로 하여 조선시대 정치사회사를 설명하는 새로운 방법 및 사실을 소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24006
형태사항 vi, 59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동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yong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주용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2-58
주제 Digital history
Quantitative history
Joseon dynasty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Mungwa bangmok
Gwageo
Yangban
Intergenerational mobility
디지털 역사학
계량 역사학
조선왕조
조선왕조실록
문과방목
과거제
양반제
사회-정치 이동성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