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Koreans'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maslow's human needs = 매슬로우 인간동기론 기반 한국인 주거만족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Koreans'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maslow's human needs = 매슬로우 인간동기론 기반 한국인 주거만족 연구 / Su-Eun J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248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GCT 24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revious research on residential satisfaction factors has focused exclusively on physical attributes, often failing to adequately consider residents'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is study links residential satisfaction factors to modified Maslow's Human Needs through an integra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1) deriving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analyses of previous studies; 2) linking factors affecting housing satisfaction to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rough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3) applying the model to data from the 2014 and 2020 Korean Housing Survey by housing type, deriving important factors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and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es by time and reg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ver time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f national data shows that the impact of love and belonging, esteem, and self-actualization nee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creased in 2020 compared to 2014. 2) The analysis of data by housing type shows that the impact of self-actualization nee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decreased in detached houses but increased in apartments and multiplex housing. 3)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regions, the impact of safety nee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creased in 2020 compared to 2014. The results of the regional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impact of esteem nee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more significant in non-metropolitan regions than metropolitan regions. 2) Data analysis by housing type shows that the impact of safety needs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for detached houses was more significant in non-metropolitan regions than in metropolitan regions. The impact of apartments and multiplex housing was more significant in metropolitan than non-metropolitan regions. By providing a more holistic view of what Koreans seek in residence, considering their psychological needs, and providing deeper insights into what influences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ifferent cultural and socio-economic contex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residents' quality of life.

이전 주거 만족도 요인 연구는 물리적 속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거주자의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성적, 정량적 통합 분석을 통해 주거 만족요인과 수정된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를 연결했다. 1)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주거 만족도 영향 요인을 도출한 뒤, 2) 분석적 계층 구조 프로세스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주거 만족도 영향 요인과 수정된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를 연결하고, 3) 2014, 2020년 주거유형별 한국주거실태조사 데이터에 본 연구 모형을 적용하고, 의사결정 나무분석을 통해 중요 요인을 도출하여 시간 및 지역별 비교 분석하였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국 데이터 분석 결과 2014년에 비해 2020년에 애정, 존중, 자아실현 욕구가 주택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2) 주택 유형별 데이터 분석 결과 단독 주택에서는 자아실현 욕구가 주택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감소하였지만,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에서는 그 영향이 증가하였다. 3) 광역시와 비광역시 지역 모두에서 안전 욕구가 주택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2014년에 비해 2020년에 증가하였다. 지역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존중 욕구가 주택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광역시에 비해 비광역시 지역에서 더 컸다. 2) 주택 유형별 분석 결과, 안전 욕구가 주거환경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단독 주택에서는 광역시보다 비광역시 지역에서 더 컸으나,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에서는 그 영향이 비광역시 지역보다 광역시에서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 개인의 심리적 욕구를 고려하여 주택에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 관점을 제공하고, 서로 다른 문화 및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 주택 만족도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24009
형태사항 vi, 126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정수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H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지현
수록잡지명 : "Explor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Koreans'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Maslowʼs Human Needs: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tegrated study". Sustainability, v.15, no19, 14312(2023)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14-118
주제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Modified Maslow's human needs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cus group interview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주거만족도
주거환경만족도
수정된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의사결정계층분석
포커스그룹 인터뷰
의사결정 나무분석 (CART)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