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고압 메탄-수소 동축류 연소기 구조와 산화제 조성에 따른 화염 안정화 및 배기 특성 = Effects of burner configuration and oxidizer composition on stabilization and emission of methane-hydrogen coaxial flames under elevated pressure
서명 / 저자 고압 메탄-수소 동축류 연소기 구조와 산화제 조성에 따른 화염 안정화 및 배기 특성 = Effects of burner configuration and oxidizer composition on stabilization and emission of methane-hydrogen coaxial flames under elevated pressure / 이지섭.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244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ME 2403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est in carbon neutrality. It is expected that combustion technologies involving oxy-combustion under high carbon dioxide condition and hydrogen combustion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oxy-combustion and hydrogen combustion under elevated pressure using a coaxial burner.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lame stabilization and variables such as tube diameter, carbon dioxide dilution ratio, hydrogen addition ratio, and pressure was analyzed. In oxy-combustion conditions, the flame stabilization mechanisms could be explained by fuel jet Reynolds number and diffusion of the carbon dioxide. Furthermore, adjusting the fuel-tube depth at atmospheric pressure reduced soot formation and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fuel-tube depth, an additional lifted flame region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utilizing these conditions under elevated pressure reduced soot formation and 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In hydrogen combus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varying the coaxial air velocity. In these cases, unlike oxy-combustion, an outer-attached flame was observed on the coaxial tube. Flames were categorized as inner-attached, inner-lifted, and outer-attached flames. The boundary of the inner-lifted flame was determined by turbulence intensity and equivalence ratio, and the analysis of this stabilization mechanism allowed us to obtain a general flame stabilization map with respect to pressur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ner-lifted flame was effective in promoting partial premixing and reducing flame length, even under high-pressure conditions, which prov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soot and nitrogen oxide emissions.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탄소 중립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아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산화탄소 다량 조건에서 작동하는 순산소 연소와 수소를 혼소하는 연소 기술들이 중요해 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축류 연소기를 사용하여 상승된 압력에서의 순산소 연소와 수소 혼소 연소 조건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화염 안정화가 관의 내경, 이산화탄소 희석 비율, 수소 혼소 비율, 압력 등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순산소 연소 조건에서는 연료 제트 레이놀즈 수와 이산화탄소의 확산으로 기본적인 화염 안정화 선도를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대기압하에서 연료관 깊이를 조절하여 그을음을 줄이고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연료관 깊이를 조절하면 추가적으로 내부 부상 화염 영역이 발견되었고, 상승된 압력에서도 이러한 조건을 활용하면 그을음이 감소하고 연소 효율도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소 혼소 연소에서는 동축류 공기 유속을 변화시키며 실험했으며 이러한 경우 순산소 연소와는 다르게 동축관에 화염이 부착되어 존재하는 외부 부착 화염이 관찰되었다. 화염은 내부 부착, 내부 부상과 외부 부착 화염으로 구분되었으며, 특히 내부 부상 화염의 경계는 난류 강도와 당량비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런 안정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압력에 대해 일반적인 화염 안정화 선도를 얻을 수 있었고, 부분예혼합을 통해 화염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내부 부상 화염이 고압 조건에서도 그을음과 질소산화물 저감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ME 24036
형태사항 vii, 100 p. : 삽도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seop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남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Nam Il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9-95
주제 동축류 화염
압력
부상 화염
CO2 희석
수소 첨가
Coaxial flame
Elevated pressure
Lifted flame
CO2 dilution
Hydrogen addition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